[원철스님의 '가로세로'] 양주 회암사에서 만난 '겹쳐짐의 미학'
2024-05-28 15:20
비가 내리는 주말임에도 불구하고 대구에서 머물고 있는 도반이 경기 양주 회암사 사리를 친견하고자 일부러 시간을 쪼개서 올라왔다는 문자를 보냈다. 회암사박물관 출입문을 찍은 인증샷도 함께 전송했다. 멀리서 찾아 올 만큼 회암사 터는 많은 이야기를 품고 있는 곳이다. 넓은 부지에 남아있는 주춧돌과 석축 그리고 돌계단이 어우러진 공간은 폐허지가 주는 허허로움을 제대로 느낄 수 있는 곳이기도 하다. 그 무상한 아름다움은 일년에 수만명의 답사객을 부르는 지역사회의 대표적인 관광지가 되었다. 최근에는 이런저런 일로 두 번을 다녀왔다. ‘겹쳐짐의 미학’을 정리할 수 있는 나름의 성과를 얻었다.
첫째, 궁궐과 사찰이 겹쳐진 모습을 만났다. 태조 이성계(1335~1408)와 무학대사가 함께 머물렀던 곳이기 때문이다. 당시 조선제일의 규모였다고 한다. 조선왕실의 원찰(願刹)인 동시에 행궁(行宮) 역할을 했던 까닭이다. 목은 이색(1328~1396)선생은 “당우가 엄청나게 크고 아름답고 화려하기가 동국의 제일이니 중국에서도 비견할만한 사찰이 없다”고 할 정도였다. 사찰인 동시에 궁궐이요 궁궐인 동시에 사찰인 면모를 유감없이 보여줬다. 비록 폐사지가 되었지만 지금 남아있는 흔적만으로도 본래의 화려한 모습을 상상하는 것은 별로 어렵지 않다.
둘째, 고려와 조선의 역사가 겹쳐진 곳이다. 그 곳에는 불교를 숭상한 고려왕실와 유교를 국시(國是)로 한 조선왕조가 힘겨루기를 하던 현장이기도 하다. 고려 공민왕 이후부터 조선초기까지 불교계의 중심인물인 지공선현(指空禪賢) 나옹혜근(懶翁慧勤1320~1376) 무학자초(無學自超1327~1376)스님께서 활동하던 근거지였다. 회암사지(址)를 옆으로 끼고서 포장도로를 따라 천보산 방향으로 올라가면 새로 지은 회암사가 자리잡고 있다. 절 마당 동편으로 언덕같은 느낌을 주는 산등성이를 따라 일정한 거리를 두고서 각각 독립된 당당한 모습의 삼화상 부도 3개가 그 시절을 대변하고 있다.
셋째, 삼화상의 맨 앞자리를 차지하는 지공선사는 중국과 인도가 겹쳐지는 인물이다. 석가족의 혈통을 물려받았으며 당시 인도불교의 중심인 나란다(那爛陀)대학에서 수학했다. 북인도 전역을 돌면서 수행한 후 중앙아시아를 거쳐 중국(元나라)에 들어와서 활동했다. 1326년(충숙왕13)부터 3년간 고려에 와서 금강산·개성·인천·양산 통도사 등을 돌며 교화를 펼쳤다. ‘달마대사의 화신’이라고 불릴 정도로 고려 사람들의 흠모를 받았으며 나옹·무학 등 많은 제자를 길러냈다.
회암사 옛터에서 여말선초 삼화상으로 불리는 고승을 동시에 만났다. 또 풍수지리 전문가로써 안목까지 발휘된 곳이다. 궁궐과 사찰이 겹쳐진 건축물 위에서 고려와 조선의 역사가 중첩된 시간을 만날 수 있었다. 그리고 인도와 중국 그리고 미국까지 관계된 공간임도 알게 되었다. 참으로 많은 옛인연들이 겹겹으로 쌓여있는 터에 다시 새로운 시절인연들이 하나하나 더해지고 있었다.
원철 필자 주요 이력
▷조계종 불학연구소 소장 ▷조계종 포교연구실 실장 ▷해인사 승가대학 학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