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청 개청 맞춰 과기정통부 조직개편…미래에너지 부서 신설

2024-05-26 12:00
우주 개발·산업 활성화 부서 우주청 이관

27일 개청을 앞둔 경남 사천시 우주항공청 전경 [사진=사천시]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우주항공청 개청에 따라 우주 정책·사업과 관련 조직을 우주청으로 이관한다. 핵융합을 비롯한 미래 에너지 기술과 기후재난 대응 개발을 전담할 부서는 신설한다.

과기정통부는 이런 내용을 담은 직제 및 직제 시행규칙 개정을 27일부터 시행한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조직개편 핵심은 과기정통부 주요 국정과제의 한 축이었던 우주 개발과 관련 산업 활성화 기능이 우주청으로 이관하는 것이다. 해당 업무를 수행하던 조직도 함께 넘겨 연구개발(R&D) 분야 조직을 재정비한다.

이에 따라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기술분야별(종적) 조직으로 정비해 세계 최고·최초를 지향하는 혁신적이고 도전적인 R&D를 체계적으로 지원한다.

우주 정책·사업을 담당하는 2개과가 우주청으로 옮겨지는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은 기술 분야 융합과 R&D 주체 간 협력을 지원하는 임무지향형 조직으로 바뀐다. 명칭을 공공융합연구정책관으로 변경하고, 과학기술을 활용한 국방·치안·복지·안전 등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전담 부서인 공공융합기술정책과를 신설한다. 핵융합·청정 수소 등으로 대표되는 미래 에너지 기술과 가뭄·홍수 등 더 빈번해지는 기후재난에 대비한 혁신적인 기후적응기술 개발을 전담할 미래에너지환경기술과도 새로 만든다.
 
세종 정부세종청사 4동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초거대 인공지능(AI) 활용·확산에 따른 안정적 에너지원 확보와 탄소중립을 전담할 원자력연구개발 전담부서는 확대 개편한다. 소형모듈원자로(SMR) 등 혁신형 원자력 기술 개발과 우수한 국내 원자력 기술의 해외 진출을 더욱 체계적으로 지원한다. 가속기를 비롯한 대형 연구시설 운영·활용을 고도화하고, 이들이 R&D 주체 간 협력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공공연구인프라혁신과도 신설한다.

과학기술일자리혁신관은 기능과 정체성이 더욱 명확하게 드러나도록 연구성과혁신관으로 개편한다. 연구성과혁신관은 공공기관 지정 해제 이후 자율과 책임에 기반한 정부 출연연 혁신을 지원한다.

이창윤 과기정통부 제1차관은 "우주 기능 이관 이후의 과기정통부 연구개발 분야 개편을 체계적으로 준비해 왔다"고 설명하고 "이번 개편이 글로벌 과학기술 강국 도약, 현장 중심의 일하는 방식 혁신 등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