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 전체 위해 상호운용적 AI 규범 체계 마련해야"

2024-05-23 15:11
개인정보위·UN AIAB 국제 콘퍼런스 개최
고학수 개보위원장 "긴밀한 국제 논의 필요"

고학수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위원장이 23일 오전 서울 중구 더플라자호텔에서 열린 '인공지능(AI)과 데이터 거버넌스 국제 콘퍼런스'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사진=개인정보보호위원회]

"인류 전체가 함께 번영을 누릴 수 있는 조화롭고 상호운용적인 인공지능(AI) 거버넌스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고학수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위원장은 23일 서울 중구 더플라자호텔에서 열린 'AI와 데이터 거버넌스 국제 콘퍼런스'에서 이같이 강조했다. 

고 위원장은 "개별 국가마다 AI를 안전하게 활용·관리하기 위한 제도와 정책을 만들고 있지만, 국가·지역별로 파편화된 규범은 혁신이나 규율 체계 형성에 효과적이지 못할 수 있다"면서 "긴밀한 국제적 소통·협력과 유연한 사고에 기반한 논의가 필요하다"고도 밝혔다. 

아울러 현시점이 글로벌 AI 거버넌스에 다양한 접근을 하는 모색기이자 과도기라고 언급하며 "AI 시장이 고착화되기 전에 글로벌 대화를 최대한 빨리 적극적으로 진행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포럼 참석자들은 AI 거버넌스 핵심 요소로 '데이터 거버넌스'를 꼽았다. 기조연설을 맡은 아만딥 싱 길 유엔 기술특사는 "데이터와 AI 거버넌스는 밀접히 연결돼 있다"면서 "이는 데이터가 AI 시스템에 투입되는 핵심 원천일뿐 아니라 AI 모델이나 결과만 보아서는 AI 리스크에 적절히 대응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 때문에 유엔 AI 고위급 자문기구가 국제 AI 거버넌스 5대 원칙 중 하나로 데이터 거버넌스를 포함했다고도 설명했다.

상호운용적 AI 거버넌스 확립을 위해 긴밀한 국제적 협력이 하루빨리 진행돼야 한다는 데도 공감했다. 카린 퍼셋 경제개발기구(OECD) AI정책연구소장은 "OECD 역시 상호운용성을 핵심 가치로 삼고 있다"고 소개하고 "최근 OECD 장관 회의에서 AI 관련 권고문을 검토했고, OECD AI 원칙이 유럽 이사회 등 여러 국가 정책에 반영되고 있다"고 밝혔다.

산업계에선 데이터 개방성과 함께 AI 안전성 확보를 위한 기업 책무를 강조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유니스 훵 구글 아태지역 AI·신흥기술 부서장은 "데이터 개방성은 지속적 혁신을 가능케 하는 환경 조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면서 "AI가 제공하는 기회를 모두가 온전히 활용하려면 데이터 거버넌스에 대한 사려 깊고 균형 잡힌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애슬리 판툴리아노 오픈AI 법률고문은 "오픈AI가 널리 이용되는 AI 모델을 개발하므로 책임 있는 AI 활용과 데이터 거버넌스를 위한 논의에 참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오픈AI 툴이 사람들에게 편익을 제공하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위험을 동반한다는 것을 알고 있다"며 "AI를 안전하고 이롭게 유지하기 위해 전념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콘퍼런스는 개인정보위가 유엔 AI 고위급 자문기구(UN AIAB)와 협력해 마련한 행사다. 유엔 기술특사를 비롯한 유엔 AI 자문위원들, 국제기구와 국내외 AI 관련 전문가, 산·학·연 관계자 등 300여명이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