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코, 공공 마이데이터 도입한다…고객 편의성 개선

2024-05-23 14:33
"절차 간소화·처리시간 단축…국민 편익 증진"

[사진=한국자산관리공사]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가 공공 마이데이터 시스템 도입한다. 고객 편의성을 개선하고 국민 데이터 주권 강화 등 정부 정책에 부응하기 위함이다. 

캠코는 '공공 마이데이터 유통시스템' 전산 구축 사업을 진행한다고 23일 밝혔다. 이를 위한 관련 용역 모집 절차도 진행 중이다. 앞서 정부는 국민 데이터 주권 강화와 데이터 기반 행정서비스를 위해 공공 마이데이터 유통체계를 구축했다.

공공 마이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게 되면 캠코는 31종의 행정정보(11개 기관)를 제공받아 △금융취약계층 채무조정 △소상공인 새출발기금 지원신청 업무에 활용 예정이다. 캠코는 연간 약 5만명의 고객이 관련 서비스 혜택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캠코는 공공 마이데이터 도입과 함께 고객 행정정보 저장‧관리를 위한 보안저장소 구축도 추진한다.

캠코 관계자는 “캠코의 금융취약계층 채무조정과 소상공인 새출발기금 신청을 위한 구비서류를 한 번의 동의만으로 제출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며 “신청 절차 간소화와 처리시간 단축을 통해 국민 편익을 증진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공공 마이데이터는 2021년 12월 시행된 ‘전자정부법’에 따라 정보주체인 국민의 제공요구로 행정·공공기관이 보유한 본인 행정정보를 본인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다. 예컨대 개인신용대출이 필요한 사람이 관련 정보를 요청하면 △행정안전부(주민등록등·초본) △국세청(소득금액증명원) △국민건강보험(건강·장기보험료 납부확인서) 등 주요 증명서 정보가 데이터 꾸러미 형태로 전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