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호감도 2년 연속 '긍정' 평가...국제 경쟁력·생산성 지표는 후퇴

2024-05-23 07:43

[이미지=대한상공회의소]


국내 기업에 대한 국민 호감도가 2년 연속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국가 경제에 기여한다는 점은 기업 호감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반면 준법 경영 미흡은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23일 대한상공회의소는 전국 20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국내 기업에 대한 호감도를 알려주는 '기업호감지수'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기업호감지수는 53.7점으로 지난해(55.9점)보다는 다소 낮아졌으나, 2년 연속 호감 기준선인 50점을 넘겼다. 기업호감지수는 국제 경쟁력, 생산성, 국제경제 기여, 사회공헌, 윤리경영 등 5대 요소와 전반적 호감도를 합산해 산출한다. 올해는 기업문화, 친환경 등 2개 지표를 추가했다.

기업에 대한 심리적 호감지수인 전반적 호감도는 지난해 52.6점에서 올해 54.1점으로 상승했다.

지난해 조사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던 국제 경쟁력은 73.9점에서 올해 58.5점으로, 생산성·기술향상 지표는 73.3점에서 올해 63.9점으로 각각 하락했다.

대내외적인 경제 불안, 글로벌 경쟁 심화 등으로 국내 기업의 경쟁력 약화에 대한 우려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반면 지난해 가장 낮은 평가를 받은 윤리경영 실현은 36.5점에서 40.9점으로 4.4점 상승해 기업의 사회적 노력이 과거와 비교해 개선된 것으로 인식됐다.

기업에 호감이 가는 이유로 '국가 경제에 기여'(43.8%)를 꼽은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이어 '일자리 창출'(26.5%), '기업문화 개선에 대한 노력'(10.3%), '사회공헌 등 사회적 책임 수행'(9.7%) 등 순이었다.

반면 기업에 호감이 가지 않는 이유로는 '준법·윤리경영 미흡'(42.7%) 비중이 가장 컸고, '기업문화 개선 노력 부족'(23.3%), '사회공헌 미흡'(10.7%) ,'고용 부진'(9.7%) 순이었다.

구글, 아마존, 테슬라 등 글로벌 선도 기업에 대해 느끼는 전반적 호감도는 57.5점을 기록해 국내 기업(54.1점)보다 높았다.

국내 기업이 글로벌 선도 기업에 비해 부족한 점(복수응답)으로는 '준법 및 윤리경영 미흡'(38.9%)을 꼽은 응답자가 가장 많았고, '후진적 기업 문화'(35.9%), '도전정신, 기술 투자 등 기업가정신 미흡'(35.7%), '국가 경제에 기여 부족'(32.7%), '지역사회 공헌활동 미흡'(29.4%) 등이 뒤를 이었다.

기업이 각종 사회문제 해결에 나서는 것에 대해서는 '사회구성원으로서 필수적이다'(58.6%)라는 의견이 '기업 본연의 역할이 우선이다'(41.4%)라는 응답보다 많았다.

기업에 바라는 우선 과제로는 경제 분야에서 '양질의 일자리 창출'(40.6%)이, 사회적으로는 '근로자 복지 향상'(33.5%)이 각각 가장 많았다.

조영준 대한상의 지속가능경영원장은 "올해는 기업에 대한 심리적 호감도가 상승했음에도 국제 경쟁력, 생산성 등 지표 하락으로 전체적인 지수가 소폭 낮아졌다"며 "기업 본연의 경제적 역할과 더불어 사회적 문제 해결에 기여하자는 뜻을 담고 있는 신기업가정신을 확산해 긍정 평가가 늘어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