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S "AI로 공급망 리스크 대응…물류 디지털 전환 속도↑"

2024-05-20 14:48
디지털 물류플랫폼 '첼로스퀘어' 올해 1조 매출 목표

오구일 삼성SDS 물류사업부장(부사장)이 20일 잠실캠퍼스에서 열린 첼로스퀘어(Cello Square) 미디어데이에서 환영사에 이어 공급망 리스크 대응을 위한 디지털 전환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사진=삼성SDS]
삼성SDS가 물류에 생성 인공지능(AI)을 적용해 공급망 리스크 대응 역량을 강화한다. 물류 디지털 전환을 바탕으로 글로벌 진출을 확대해 올해 매출 1조 목표를 달성하겠다는 포부다. 

삼성SDS는 20일 서울 송파구 잠실캠퍼스에서 '첼로스퀘어 미디어데이'를 개최하고 AI를 활용한 디지털 물류로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에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했다.

코로나19 이후 글로벌 공급망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홍해 물류사태 등 지정학적 리스크 △미국, 유럽의 보호무역주의 강화로 인한 글로벌 공급망 재편 △기후 변화, 탄소 배출 규제 등 기후 대응 이슈를 잇따라 맞닥뜨리고 있다. 

이처럼 급변하는 글로벌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생성 AI를 적용한 물류 플랫폼을 통해 리스크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선보였다. 

삼성SDS는 머신러닝과 생성 AI를 활용해 실시간으로 공급망 리스크를 감지한다. 우선 매일 수집한 6만 건 이상의 글로벌 뉴스에서 머신러닝을 활용해 물류 리스크를 자동 추출한다. 이렇게 추출된 리스크를 생성 AI를 활용해 위험도를 3단계로 구분해 산정한다. 삼성SDS는 과거 약 2만 건의 글로벌 물류 리스크 사례로 위험도를 판단하는 모델을 개발했고, 생성 AI가 위험도 판단을 할 수 있도록 학습시켰다. 

이를 통해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물동이 자동으로 산출되면, 삼성SDS 물류 전문가들이 데이터 분석과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신속하게 대응 방안을 수립한다. 방안 수립에 걸리던 시간도 기존 하루에서 2시간으로 단축되어 리스크 대응 속도를 크게 높였다고 회사 측은 전했다.

오구일 삼성SDS 물류사업부장(부사장)은 "코로나19 이후로 계속된 글로벌 리스크로 인해 고객들의 물류 디지털 전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며 "삼성SDS는 디지털 기술과 AI를 활용해 글로벌 공급망의 큰 변화에도 중단없이 지속 가능한 물류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강조했다.

삼성SDS는 생성 AI를 통해 물류 업무를 자동화하는 한편, 물류 전체 가시성도 강화했다. 우선 첼로스퀘어에서 생성 AI와 대화만으로 통해 견적 조회, 필요한 컨테이너 개수 산정 등 서비스는 물론, 고객별 물동량과 물류비 데이터를 쉽게 추출할 수 있다. 또 과거 데이터를 분석해 선박의 예상 이동시간, 항만 체류시간 등을 계산해 더욱 정교한 '도착예정시간 예측 정보'를 제공한다. 이밖에 항공, 해상, 육상, 철도 등 운송 수단별 탄소배출량과 탄소집약도 등을 보여줌으로써 효율적인 탄소배출량 관리도 가능하다. 

올해 첼로스퀘어 매출 목표는 1조원이다. 지난해 매출은 5600억원으로 전년 대비 약 2배 이상 성장했다. 올해 첼로스퀘어의 서비스 지역을 글로벌 전 거점으로 확대하겠다는 계획이다. 현재 첼로스퀘어의 서비스 지역은 30개국이다. 오구일 부사장은 "현재 30개국에서 운영 중인데, 현재는 한국·중국·동남아 등 출발지 중심으로 주로 이용되고 있지만 앞으로 영국·유럽·중남미 등 도착지 중심으로 비즈니스 기회를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