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 'PF 옥석가리기' 본격 돌입···2금융發 부실사업장 쏟아지나
2024-05-19 16:00
6월 부동산PF 사업장 1차 점검 개시···약 30% 규모
구조조정 대상 '유의', '부실우려' 사업장 속출할 듯
캐피탈·저축은행·증권 부실 규모 최대 8.7조 가능성
구조조정 대상 '유의', '부실우려' 사업장 속출할 듯
캐피탈·저축은행·증권 부실 규모 최대 8.7조 가능성
19일 금융권에 따르면 내달 시행되는 부동산 PF 사업성 평가 개선안의 최초 평가 대상 사업장 규모는 전국의 5000여 곳 PF 사업장 중 30% 수준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앞서 금융당국은 사업성 평가 기준을 현재 '양호-보통-악화우려' 등 3단계에서 '양호-보통-유의-부실우려' 등 4단계로 세분화했다. 기존 악화우려 사업장은 금융회사가 대출액의 30%만 충당금을 쌓아도 됐지만, 앞으로는 75%를 충당금으로 쌓아야 한다. 이때 당국이 최초 평가 대상으로 연체 또는 3회 이상 만기를 연장한 사업장을 지목한 만큼 금융권은 평가 대상 사업장의 대다수가 구조조정 대상으로 볼 수 있는 '유의'와 '부실우려' 등급을 받을 것으로 보고 있다.
나이스신용평가는 2금융권 경영에 무리가 없는 범위 내 추가 충당금 적립이 가능하다고 보면서도 PF 사업장의 경·공매가 본격화하면 사업장 구조조정이 빨라질 것으로 분석했다. 나신평은 캐피털 업계가 최대 3조5000억원에 달하는 추가 충당금 적립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했다. 또 다른 2금융권에는 △저축은행 1조~3조3000억원 △증권 1조1000억~1조9000억원 등 세 업권에서만 최대 9조원에 육박하는 충당금이 필요할 수 있다고 봤다.
한국신용평가에선 캐피털·저축은행·증권 브리지론 인허가 미완료 비중이 지난해 9월 말 기준 모두 절반을 웃돈다고 분석했다. 중소형 증권사 인허가 미완료 비중이 75%를 넘는 것은 물론, 규모가 큰 신용등급 AA급 캐피털사(61%)나 대형 증권사(58%)의 비중도 마찬가지였다. 인허가 미완료는 △토지매입률 △수익구조 △여신 만기 연장 횟수 △경·공매 유찰 횟수 등과 함께 PF 사업성 부족을 판단하는 주요 기준이다.
금융당국은 시장 참여자들이 충분히 감내할 수 있도록 유연하게 대처하겠다는 입장이다. 이달 말 전 금융권 PF 담당 임원 대상 설명회를 시작으로 업권별 릴레이 설명회도 진행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