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2.6%→2.1%...'잔잔한 파동형' 변모하는 K-경제
2024-05-16 12:00
1분기 1.3% 서프라이즈 반영해 성장률 조정
사이클 오른 반도체가 수출 동력
고금리 기조에 내수는 침체
사이클 오른 반도체가 수출 동력
고금리 기조에 내수는 침체
OECD 전망과 동일…IMF 전망치보다 상향
KDI는 16일 '2024년 상반기 경제전망'을 통해 올해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을 2.6%로 예상했다. 지난 2월 전망치였던 2.2%에서 0.4%포인트 상향조정한 수치다. KDI의 성장률 전망치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동일하고 국제통화기금(IMF)가 예측한 2.3%보다 높다.
주요 기관이 우리나라 경제 성장률을 상향 조정하면서 2%대 초반을 예상했던 기획재정부와 한국은행도 전망치를 상향 조정할 가능성이 커졌다. 앞서 기재부와 한은은 올해 경제 성장률을 각각 2.2%, 2.1%로 예상했는데 이달과 다음달 사이 이를 업데이트할 전망이다.
KDI의 성장률 조정 배경에는 예상치를 상회한 1분기 국내총생산(GDP) 결과가 반영됐다. 앞서 1분기 국내총생산은 수출회복세가 지속되면서 전 분기 대비 1.3% 성장의 높은 증가세를 보였다. KDI는 "높은 수출 증가세에 힘입어 경기 부진이 지속적으로 완화되는 모습"이라고 진단했다.
반도체 산업이 견인하는 수출 회복은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KDI는 "글로벌 반도체 거래액이 급증하는 가운데 우리 수출도 반도체를 중심으로 대폭 증가할 것"이라며 "글로벌 반도체 거래액은 올해에 크게 반등한 뒤 내년에도 비교적 높은 증가액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KDI는 상반기 경제 성장률이 2.9%를 기록한 이후 하반기 이보다 다소 떨어지는 2.3%에 머물 것으로 내다봤다. 성장률이 하반기에 조정을 거치는 것과 관련해 정규철 KDI 경제전망실장은 "지난해 상반기 경제가 안 좋았던 만큼 기저효과에 의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주요 기관이 우리나라 경제 성장률을 상향 조정하면서 2%대 초반을 예상했던 기획재정부와 한국은행도 전망치를 상향 조정할 가능성이 커졌다. 앞서 기재부와 한은은 올해 경제 성장률을 각각 2.2%, 2.1%로 예상했는데 이달과 다음달 사이 이를 업데이트할 전망이다.
KDI의 성장률 조정 배경에는 예상치를 상회한 1분기 국내총생산(GDP) 결과가 반영됐다. 앞서 1분기 국내총생산은 수출회복세가 지속되면서 전 분기 대비 1.3% 성장의 높은 증가세를 보였다. KDI는 "높은 수출 증가세에 힘입어 경기 부진이 지속적으로 완화되는 모습"이라고 진단했다.
KDI는 상반기 경제 성장률이 2.9%를 기록한 이후 하반기 이보다 다소 떨어지는 2.3%에 머물 것으로 내다봤다. 성장률이 하반기에 조정을 거치는 것과 관련해 정규철 KDI 경제전망실장은 "지난해 상반기 경제가 안 좋았던 만큼 기저효과에 의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진부진한 내수…한은 금리 기조 전환시 소비 반등할 듯
KDI는 지지부진한 내수를 경제 성장의 제약을 가하는 가장 큰 장애요인으로 꼽았다. 다만 여전히 높은 물가는 시간이 지나면서 안정을 찾을 것으로 내다봤다.
올해 민간소비는 고금리 기조의 영향으로 부진이 지속되면서 지난해와 비슷한 1.8% 증가에 그치겠지만 내년에는 부진이 다소 완화되면서 1.9%로 소폭 증가할 전망이다. 설비투자는 반도체 경기에 따라 올해 2.2% 상승하고 내년에는 고금리 기조가 완화되면서 3.1%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등으로 위축된 건설투자는 향후에도 험로가 예상된다. KDI는 부동산 경기 하락으로 올해와 내년 건설투자가 각각 1.4%, 1.1%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 경제의 악재로 작용한 소비자물가는 서서히 안정세를 찾을 것으로 보인다. 올해 소비자물가는 내수 부진으로 지난해보다 낮은 2.6%를 기록한 후 내년에는 정부 물가안정목표 수준에 근접하는 2.1%를 기록할 전망이다.
취업시장은 여전히 좋지 않다. 올해 취업자 수는 내수부진의 영향으로 지난해보다 줄어든 24만명, 내년 취업자 수는 17만명으로 점차 축소될 것으로 예상된다. 실업률은 올해와 내년 모두 2.7%로 전망된다.
지정학적 갈등 상황도 변수다. KDI는 △중동지역의 갈등으로 인한 국제유가 급등 △중국 건설업체의 재무건정성 악화로 인한 중국경기 침체 △미국 대선 이후 보호무역주의 기조 심화 등을 향후 경제 성장의 위험요인으로 거론했다.
올해 민간소비는 고금리 기조의 영향으로 부진이 지속되면서 지난해와 비슷한 1.8% 증가에 그치겠지만 내년에는 부진이 다소 완화되면서 1.9%로 소폭 증가할 전망이다. 설비투자는 반도체 경기에 따라 올해 2.2% 상승하고 내년에는 고금리 기조가 완화되면서 3.1%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등으로 위축된 건설투자는 향후에도 험로가 예상된다. KDI는 부동산 경기 하락으로 올해와 내년 건설투자가 각각 1.4%, 1.1%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 경제의 악재로 작용한 소비자물가는 서서히 안정세를 찾을 것으로 보인다. 올해 소비자물가는 내수 부진으로 지난해보다 낮은 2.6%를 기록한 후 내년에는 정부 물가안정목표 수준에 근접하는 2.1%를 기록할 전망이다.
취업시장은 여전히 좋지 않다. 올해 취업자 수는 내수부진의 영향으로 지난해보다 줄어든 24만명, 내년 취업자 수는 17만명으로 점차 축소될 것으로 예상된다. 실업률은 올해와 내년 모두 2.7%로 전망된다.
지정학적 갈등 상황도 변수다. KDI는 △중동지역의 갈등으로 인한 국제유가 급등 △중국 건설업체의 재무건정성 악화로 인한 중국경기 침체 △미국 대선 이후 보호무역주의 기조 심화 등을 향후 경제 성장의 위험요인으로 거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