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동성 커진 한국 증시… 단기성 CD금리 상품에 돈 몰려

2024-04-17 06:00
고금리·고환율에 투자처 못찾아
코스피·코스닥 한달간 하락세로
코덱스CD금리 ETF 하루 4045억
메리츠 KIS CD금리 ETN 등 인기

 

고물가·고금리·고환율 등 이른바 '3고(高)'에 증시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다. 중동발 전쟁 리스크는 다소 줄어들었지만 안전자산 수요가 높아지면서 증시에 하방 압력이 커지는 모습이다. 투자처를 찾지 못한 투자자들은 단기성 상품에 투자하면서 변동성 대응에 나섰다.

1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는 최근 1개월간 4.01% 떨어졌다. 같은 기간 코스닥은 6.16% 하락했다. 국내 증시가 부진한 건 고물가·고금리·고환율에 중동 지정학적 우려까지 더해진 탓이다. 특히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장중 달러당 1400원을 넘기며 1년 5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기도 했다.

지난 주말 전쟁 공포가 고조된 이후 이스라엘이 이란에 대한 전면전은 자제하기로 했지만 중동발 불안은 여전히 남아 있다. 이런 상황에서 국제 유가가 상승하면서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우려는 확대되고 있고 금리 인하 기대감이 후퇴하는 등 증시에 부담으로 작용하는 모습이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시기는 늦춰질 전망이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6월 금리 인하 확률은 22.4%다. 7월 금리 인하 가능성도 40.6%에 그친다. 일주일 전만 해도 7월 금리 인하를 점치는 의견은 50.2%였다. 지난해 말 시장에선 연준이 올해 3회 이상 금리를 내릴 것으로 전망했지만 올 9월에야 금리 인하가 시작될 것이란 시각이 많아졌다.

이에 양도성예금증서(CD) 등 단기 금리가 높은 상품에 대한 투자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지난달 일평균 거래대금 상위 1위 상장지수펀드(ETF)는 'KODEX CD금리액티브(합성)'로 4045억원을 기록했다. 이 ETF는 CD 91일물 하루치 금리 수준을 일할 계산해서 매일 복리로 반영하는 상품이다. 하루만 투자해도 CD91일물 하루치 금리를 수익으로 받을 수 있다. 

지난 3월 개인투자자 순매수 규모는 1507억원이었다. 4월 들어서도 16일까지 개인은 969억원어치를 순매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순자산가치 총액도 지난해 말 5조9745억원에서 3월 말 7조9931억원으로 33.8% 늘었다. 순자산가치 기준 1위로 커졌다.

ETN도 CD금리 관련 상품이 일평균 거래대금 상위를 차지했다. ETN은 ETF처럼 거래소에 상장돼 손쉽게 사고팔 수 있어 ETF와 비슷하지만 발행 주체가 자산운용사가 아닌 증권사다. 만기가 있고 원자재, 통화, 선물 등 기초지수를 추종한다.

3월 일평균 거래대금 2위와 3위는 'KB KIS CD금리투자 ETN'과 '하나 CD금리투자 ETN'이었다. KB증권과 하나증권이 지난달 20일 각각 해당 ETN을 상장한 점을 고려하면 그만큼 관심이 높았던 것으로 보인다.

KB KIS CD금리투자 ETN은 금융투자협회가 고시하는 CD수익률 성과를 지수화한 'KIS CD금리투자 총수익지수'가 기초지수다. 매일 CD금리에 재투하자는 효과를 기대하는 상품이다. 하나 CD금리투자 ETN은 'KAP CD 총수익지수'가 기초지수며, CD에서 발생되는 이자를 일별로 나눠 투자자에게 지급하는 상품이다. 

지난달 말 기준 지표가치총액 상위 ETN도 CD금리 ETN이었다. 지표가치총액 9391억원인 '메리츠 KIS CD금리투자 ETN'은 368개 ETN 중 가장 규모가 컸다. 'QV KIS CD금리투자 ETN'이 7264억원으로 뒤를 이었다.

당분간 여유 자금은 단기 금융상품에 몰릴 것으로 예상된다. 증시 변동성을 자극하는 재료들이 남아 있어서다. 조재운 대신증권 연구원은 "향후 지정학적 리스크가 심화된다면 석유 공급 감소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며 "국제 유가 상승은 물가를 다시 상승시킬 수 있고 인플레이션을 자극해 금리 인하 기대감을 후퇴시켜 투자심리를 위축시키고 환율 변동성을 키울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