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위기설 현실화?] 정부는 괜찮다는데…곳곳서 '이상경고음'

2024-04-03 18:00
저축은행 PF 대출 연체율 2015년래 최고치…위기 신호 감지
대통령실까지 나서서 "4월 위기설 가능성 전혀 없다" 일축
당장의 위기 없다지만…"PF 리스크 만성적으로 시장 부담"

[사진=연합뉴스]

총선 이후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돈줄이 막혀 금융사와 시공사들이 '도미노'처럼 무너질 것이란 불안감이 고조되고 있다. 금융당국 수장에 이어 대통령실까지 "4월 위기설은 가능성이 전혀 없다"고 진화에 나섰지만 불안감은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3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기준 저축은행 PF 대출 연체율은 6.9%로 2015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저축은행은 자본 대비 PF 대출 잔액이 65.1%를 차지하고 자본 대비 PF 연체액 비율도 4.5%로 가장 높아 '약한 고리'로 꼽히고 있다.

새마을금고에 대한 건전성 우려도 커지고 있다. 금융당국은 3월 말 기준 새마을금고 연체율을 가집계한 결과 8%대를 넘어선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해 말까지만 하더라도 5% 수준에서 관리되던 연체율은 올 1월 6%대, 2월엔 7%대를 찍는 등 갈수록 악화되고 있다. 특히 새마을금고의 기업대출 연체율은 이미 10%대를 넘어선 것으로 파악됐다. 기업대출 연체율 중 상당 부분을 부동산 PF가 차지하고 있다.

상황이 이렇자 금융권과 부동산업계에서는 총선 이후 부실 PF가 본격화할 것을 우려하고 있다. 지난 1월 태영건설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 이후 연장됐던 PF 만기가 4월에 집중되면서 일부 업체들은 자금 조달에 실패할 것이라는 비관적인 예상이 나오고 있다. 게다가 4월은 2021~2022년 착공한 건설현장 준공이 몰리는 시기여서 브리지론(착공 전 PF)이 본PF 리스크로 확대될 우려가 높다. 최근 몇 년간 이어진 고금리와 급격한 공사비용 상승은 이미 지방 건설사와 중소형 건설사 자금줄을 압박하고 있다.

시장 전반이 불안감에 휩싸이자 김주현 금융위원장과 이복현 금감원장은 "상반기에 시스템 리스크로 번질 만한 유동성 위기가 현실화할 가능성은 극히 낮다"면서 "4월 위기설에 대해서는 걱정을 안 해도 된다"고 일축했다. 대통령실도 "4월에 위기가 발생할 가능성은 전혀 없다고 단언한다"고 거들었다.

하지만 건설 현장 곳곳에서는 이미 위기 징후가 감지되고 있다. 국토교통부 통계에 따르면 지난 1월 전국 미분양 주택은 6만3755가구에 달했다. 고금리가 지속되는 데다 미분양이 늘면서 부동산 PF 대출을 제대로 갚지 못하는 사업자들이 늘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실제 한국신용평가 유효등급을 보유한 20개 건설사의 총 PF 보증금액은 2022년 말 25조9000억원에서 2023년 말 30조원으로 증가했다.

전문가들은 당장 위기가 닥칠 가능성은 낮지만 부동산 경기와 건설 업황 회복이 지연되면 PF 사업장 부실이 실물경제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한국은행은 최근 발표한 '금융안정상황 보고서'에서 "PF 채무보증 규모가 과도한 일부 건설사들이 유동성 사정 악화로 구조조정 단계에 들어가게 되면 실물경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과거 저축은행 PF 사태 당시에도 PF 사업장 부실과 다수 건설사에 대해 구조조정이 병행되면서 건설투자가 3년간 감소세를 보인 바 있다.

이경자 삼성증권 연구원은 "근거 없는 위기설은 경계해야 하지만 PF 시장에 부정적 이벤트 출현 시 자금시장 불안이 나타날 수 있는 환경은 조성돼 있다"며 "4월에 극단적 상황이 한꺼번에 나타나기보다 PF 리스크가 만성적으로 시장에 부담을 주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