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 오류 컴퓨터로 잡는다"....국토부, '건설기준 디지털화' 성과발표회 개최

2023-12-15 09:08

BIM을 활용한 설계도면 적합성 검토 화면. [사진=국토교통부]
정부가 2026년까지 주요 분야 건설기준의 디지털화를 완료할 계획이다.

국토교통부와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은 스마트건설 활성화 방안의 일환으로 추진하는 '건설기준 디지털화 사업(2022∼2026)' 성과발표회를 15일 서울 강남구 건설회관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건설기준은 기술성·환경성 향상과 품질 확보, 적정한 공사 관리를 위한 기준이다. 설계 때 준수해야 할 설계기준과 시공 때 지켜야 할 표준시방서로 나뉜다.

국토부는 건설기준을 BIM(건설정보모델링·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환경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디지털로 전환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현재 설계·시공 실무자들은 도면을 작성·검토할 때 관련 건설기준을 일일이 확인하고 있다. 건설기준 디지털화가 완료되면 이런 작업은 컴퓨터가 맡는다. 건설기준에 적합한지 여부가 자동으로 판단돼 검토 시간과 설계 오류를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둥·벽체 등 특정 부재에 철근이 적정하게 들어있는지 검토해야 한다면, 컴퓨터가 건설기술에서 요구하는 철근량에 적합한지 검토한 뒤 철근량이 부족할 경우 '부적합' 판정을 내려 재검토할 수 있다.

건설기준 디지털화는 △시설물별 설계·시공 절차도에 관련 건설기준을 연계하는 기준맵 제작 △기준맵을 기반으로 빌딩정보모델링(BIM) 환경에서 사용자가 절차·부재별 건설기준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라이브러리 구축 △라이브러리 내 정보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형식)로 변환하는 온톨로지 작업 등 3단계에 거쳐 완성된다.

국토부는 소관 건설기준 중 국민 생활·안전과 밀접한 교량·건축 분야 건설기준부터 디지털화에 착수해 라이브러리 구축을 마쳤다. 내년에는 두 분야의 온톨로지 작업과 타 분야 건설기준 라이브러리 구축을 병행할 계획이다.

김태오 국토부 기술안전정책관은 "건설기준 디지털화로 BIM 활성화·설계 오류 자동 검토로 실무자 업무 효율성 향상이 기대된다"며 "교량·건축 분야를 필두로 2026년까지 주요 분야 건설기준의 디지털화 사업을 속도감 있게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