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보험료 2~3% 내릴 듯…보험권 상생안 이르면 내주 발표
2023-12-13 17:00
유력안은 2.5% 인하…손보업계서만 5000억 규모
장고하는 생보업계…일각서 보험료 납입 유예 검토
장고하는 생보업계…일각서 보험료 납입 유예 검토
보험업권이 검토하고 있는 상생금융안 윤곽이 이르면 다음 주, 늦어도 이달 안에 드러날 것으로 전망된다. 손해보험업계에서는 자동차보험료를 기업별로 2.5% 내외 수준에서 인하하는 방안이 유력하게 거론된다.
13일 손보업계에 따르면 기업별로 내년 자동차보험 요율을 결정하는 막바지 작업에 한창이다. 자동차보험 요율은 통상 연초에 전년 손해율 집계를 마무리한 뒤 발표된다. 그러나 올해는 금융당국이 보험업권에 상생금융을 압박하고, 손보업계 상생금융안의 핵심으로 자동차보험료 인하가 언급되는 만큼 연내에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업계에서는 내년 자동차보험료 인하율이 기업별로 2.5~3% 수준에서 결정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자동차보험 시장이 연간 20조원 규모인 것을 고려하면 내년 자동차보험료가 2.5%가량 인하될 시 손보업계에서만 5000억원 규모로 상생금융안이 마련되는 셈이다.
자동차보험료 인하가 상생금융안의 큰 축으로 떠오른 것은 삼성화재·현대해상·KB손해보험·DB손해보험 등 주요 손해보험사 자동차보험 손해율이 안정적이기 때문이다. 올해 들어 10월까지 주요 손보사의 누적 자동차보험 손해율 평균은 78.6%로 집계됐다. 보험사들이 자동차보험료로 100만원을 거둬들였다고 가정했을 때 보험금으로 78만6000원가량을 지급했다는 의미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사실 자동차보험 손해율이 안정적이어도 보험사로서는 요율을 낮추는 게 부담스러운 결정”이라며 “그럼에도 대부분 손보사들이 2.5% 내외로 자동차보험료 인하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손보업계에서 5000억원 규모 상생금융안이 유력하게 언급되면서 생명보험업계 고민은 깊어지고 있다. 손보업계와 비슷한 규모를 마련할 만한 마땅한 묘수가 없기 때문이다. 생보업계에서는 개별 기업을 중심으로 금융 취약계층 대상 고이율 저축·연금보험 상품을 내놓거나 건강 관련 상품 보험료 납입을 유예하되 효력은 유지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다만 업계 차원에서 구체적인 지원 시기, 방법, 규모 등을 논의하고 있어 최종 상생금융안 발표 시기는 미정이다. 그러나 생보업계 자산 규모 등을 고려했을 때 상생금융안 규모는 손보업계와 비슷한 수준에서 결정될 것이란 분석이 지배적이다.
한편 금융당국은 은행권에 이어 보험업권에도 상생금융 확대를 압박하고 있다. 지난 6일에는 김주현 금융위원장과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보험업계 최고경영자(CEO)들을 모아 국민에 대한 장기적인 신뢰를 강조하면서 보험업권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기도 했다.
13일 손보업계에 따르면 기업별로 내년 자동차보험 요율을 결정하는 막바지 작업에 한창이다. 자동차보험 요율은 통상 연초에 전년 손해율 집계를 마무리한 뒤 발표된다. 그러나 올해는 금융당국이 보험업권에 상생금융을 압박하고, 손보업계 상생금융안의 핵심으로 자동차보험료 인하가 언급되는 만큼 연내에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업계에서는 내년 자동차보험료 인하율이 기업별로 2.5~3% 수준에서 결정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자동차보험 시장이 연간 20조원 규모인 것을 고려하면 내년 자동차보험료가 2.5%가량 인하될 시 손보업계에서만 5000억원 규모로 상생금융안이 마련되는 셈이다.
자동차보험료 인하가 상생금융안의 큰 축으로 떠오른 것은 삼성화재·현대해상·KB손해보험·DB손해보험 등 주요 손해보험사 자동차보험 손해율이 안정적이기 때문이다. 올해 들어 10월까지 주요 손보사의 누적 자동차보험 손해율 평균은 78.6%로 집계됐다. 보험사들이 자동차보험료로 100만원을 거둬들였다고 가정했을 때 보험금으로 78만6000원가량을 지급했다는 의미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사실 자동차보험 손해율이 안정적이어도 보험사로서는 요율을 낮추는 게 부담스러운 결정”이라며 “그럼에도 대부분 손보사들이 2.5% 내외로 자동차보험료 인하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손보업계에서 5000억원 규모 상생금융안이 유력하게 언급되면서 생명보험업계 고민은 깊어지고 있다. 손보업계와 비슷한 규모를 마련할 만한 마땅한 묘수가 없기 때문이다. 생보업계에서는 개별 기업을 중심으로 금융 취약계층 대상 고이율 저축·연금보험 상품을 내놓거나 건강 관련 상품 보험료 납입을 유예하되 효력은 유지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다만 업계 차원에서 구체적인 지원 시기, 방법, 규모 등을 논의하고 있어 최종 상생금융안 발표 시기는 미정이다. 그러나 생보업계 자산 규모 등을 고려했을 때 상생금융안 규모는 손보업계와 비슷한 수준에서 결정될 것이란 분석이 지배적이다.
한편 금융당국은 은행권에 이어 보험업권에도 상생금융 확대를 압박하고 있다. 지난 6일에는 김주현 금융위원장과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보험업계 최고경영자(CEO)들을 모아 국민에 대한 장기적인 신뢰를 강조하면서 보험업권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