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저출산시대, 인재 패러다임을 바꿔라] 청년 일자리 미스매칭 심화..."질 좋은 일자리 없어"

2023-11-15 05:00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지방 기업들은 구인난을 겪고 있지만 청년들은 일할 곳이 없다고 합니다."
 
일하겠다는 사람은 늘어나는데, 기업은 일할 사람을 구하지 못하는 이른바 ‘일자리 미스매칭’(miss matching)’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 청년 일자리 미스매칭 현상은 수도권에 비해 양질의 기업이 부족한 지역 중소도시에서 심각한 가운데 지방 소멸 등 인구 문제로까지 이어지고 있다.
 
'니트족' 이어 '프리터족' 증가···"원하는 일자리 없어"

통계청이 발표한 ‘경제활동인구조사 비임금근로 및 비경제활동인구 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8월 기준 비경제활동인구 중 20·30대 청년층 중 쉬는 인구는 무려 67만6000명에 달했다. 20대와 30대 각각 2만8000명, 3만8000명 증가했다. ‘왜 쉬었는지’를 묻는 통계청 질문에 15~29세는 ‘원하는 일자리를 찾기 어려워서’(32.5%)가 가장 많았다. 비슷한 사유인 ‘일자리가 없어서’도 7.3%였다.
 
특히 구직 활동을 하지 않는 ‘청년 니트족(NEET·일하거나 교육받을 의지가 없는 구직 단념자)’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통계청 경제활동인구 청년층(15∼29세) 부가조사 마이크로데이터에 따르면 학교를 졸업(수료·중퇴 포함)했으나 3년 이상 취업하지 않은 청년은 지난 5월 기준 21만8000명이었다.
 
청년 니트족 비율은 5월 기준 2018년 24.0%, 2019년 24.7%, 2020년 25.5%로 20%대에 머무르다가 2021년 34.7%로 30%대를 돌파했다. 지난해에는 37.4%를 기록하며 본격적으로 30%대에 정착했다.
 
사회초년생 나이대인 20대에서 일을 쉬는 ‘니트족’뿐만 아니라 단기 일자리를 전전하는 ‘프리터족’도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 고용률이 높아짐에도 젊은 니트족들이 양산되는 가장 큰 이유로는 질 좋은 정규직 일자리가 적다는 점이 꼽힌다.
 
수도권·지역 청년 취업 격차↑···대·중소 임금 양극화

수도권과 지역 청년 사이 ‘취업 격차’는 갈수록 더 벌어지고 있다. 구직자를 향한 중소기업의 채용 열정에도 불구하고, 정작 구직자들은 관련 업계를 외면하고 있는 실정이다. 기업은 취업준비생에게 적절한 임금 및 성장가능성을 적절하게 제시하지 못하고 있으며, 취업준비생들은 인프라 부족과 낮은 급여수준 등의 원인으로 지역 기업을 외면하고 있는 것이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의 ‘2022년 지역별 청년(15∼29세) 고용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서울·인천·경기는 지난해 지역별 청년고용률 상위권을 싹쓸이했다. 수도권에서 멀어질수록 청년 고용률은 급격히 추락했다. 강원은 지난해 상반기 20대 초반 실업률(17.5%)이 전국 평균(8.1%)의 2배를 상회했으며, 울산은 지난해 하반기 20대 초반 실업률(19.4%)이 전국 평균(5.7%)의 약 3.5배 수준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자리 미스매칭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중소기업에서 능력있는 젊은이들이 일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줘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권순원 숙명여대 경영전문대학원 원장은 "중소기업들의 임금 근로 조건이 좋지 않으니 구직자들이 기피하는 것이다. 인력이 없으면 생산성 담보가 안 되고 기술 개발도 안 된다. 경영도 계속 안 좋아지는 악순환의 상황이다"라고 설명했다. 

박희재 서울대 기계공학부 교수는 "기업 보수 양극화가 미스매칭을 심화시키고 있다. 일자리를 필요로 하는 대부분의 중소기업이나 지방 기업들은 대기업들의 반도 안 되는, 젊은이들이 눈높이에서 굉장히 낮은 수준의 임금을 제시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