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대통령, 국립한글박물관 깜짝 방문..."한글 정신, 자유‧평등‧번영 일맥상통"

2023-10-05 17:13
9일 한글날 앞두고 방문,,,"한글이 있어 中 한자 영향으로부터 독립"

윤석열 대통령이 2023 한글주간을 맞아 5일 서울 용산구 국립한글박물관을 깜짝 방문, 전시관 앞마당에 있던 어린이들과 인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은 5일 오전 제577돌 한글날(9일)을 앞두고 국립한글박물관을 깜짝 방문했다. 윤 대통령은 "세종대왕이 창제한 한글의 정신은 현대 우리 대한민국의 지향점인 자유, 평등, 번영과도 일맥상통한다"고 강조했다.
 
이도운 대변인의 서면 브리핑에 따르면 국립한글박물관은 한글의 문자적·문화적 가치를 널리 알리기 위해 2014년 10월 9일 개관했으며, 이번 주 10월 4일부터 2023 한글주간을 맞이해 '미래를 두드리는 한글의 힘'을 주제로 다양한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윤 대통령이 현장에 도착하자 박물관 앞마당에서 선생님의 설명을 듣고 있던 유치원생들이 "안녕하세요"라며 모여들었다. 윤 대통령은 어린이들에게 몇 살인지, 박물관은 구경했는지 등을 물으며 다 같이 기념 촬영을 했다. 디지털 전시실에서는 초등학생들과 인사를 나눴다.
 
전시관으로 이동한 윤 대통령은 학예연구관의 안내에 따라 '훈민정음, 천년의 문자 계획' 상설 전시를 둘러봤다. 또 최초의 국어사전 원고인 '말모이', 근대 한글소설, 대한매일신보, 독립신문 등 근대화기 한글의 변천사도 관람했다.
 
윤 대통령은 "세종대왕은 모든 사람이 한글을 통해 신분이나 성별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소통할 수 있기를 바랐다"면서 "신분이 낮은 사람이나 여성만 사용했다는 일반적인 편견과 달리 실제 한글은 왕부터 노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 평등하게 사용한 글자였다"고 강조했다.
 
또한 조선시대 관청에서 각종 분쟁을 한글로 해결했다는 자료를 언급하며 "조선시대에도 송사를 한글로 작성했다는 것은 관공서에서도 한글이 많이 쓰였다는 것을 뜻한다"며 "신분고하를 막론하고 한문을 못 배운 사람들도 한글로 호소할 수 있게 되면서 평등의 가치를 실현한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아울러 윤 대통령은 "디지털 시대에 가장 유리한 문자가 알파벳과 한글이고, 한글이 우리가 IT 강국으로 가는 데 큰 역할을 했다"면서 "조선시대에는 한글이 있었기에 중국의 한자 영향으로부터 독립할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관람을 마친 윤 대통령은 김영수 국립한글박물관장과 작별 인사를 나누며 "한글날을 맞아 학생들을 데리고 온 유치원, 초등학교 선생님들께 감사드린다"면서 "제게도 유익한 경험이었다"고 소감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