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 선점 시급한데···배터리업계, 새만금 사업 재검토 '날벼락'
2023-08-31 05:45
2025년부터 새만금 산단서 소재 생산
기약없이 기반 건설 완료만 기다릴 판
산단조성 지연으로 경쟁력 약화 우려
기약없이 기반 건설 완료만 기다릴 판
산단조성 지연으로 경쟁력 약화 우려
정부가 새만금 기반시설(SOC) 기본계획을 다시 작성하기로 하면서 투자를 계획했던 국내 배터리업계에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올해부터는 공사에 들어가 이르면 2025년 배터리 소재 상업생산을 계획했으나 당초 계획보다 최대 2년 이상 생산이 미뤄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미 미국, 유럽연합(EU), 중국이 보호주의를 통해 역내 배터리 생산거점을 확보한 상황에서 배터리 소재 생산거점 역시 동남아에 내줄 수 있다는 우려까지 제기된다.
30일 조달청 나라장터에 따르면 정부가 지난 23일 공고한 ‘새만금지구 국가산업단지 토지이용계획 재검토 용역’ 과업 기간은 착수일로부터 15개월이다.
용역 내용은 새만금 SOC 건설에 대한 재검토와 산업단지 여건 변화에 따른 새로운 도시계획 수립이다. 정부가 수립한 기존 계획에 따르면 올해는 새만금지구에 공항을 포함한 주요 기반시설 공사가 시작될 예정이었다.
하지만 새로운 용역 공고에 따르면 9월 말에는 용역업체를 선정하고 과업 착수에 돌입할 예정인데 용역 결과가 나오고 검토를 거치게 된다면 본격적인 공사는 2025년에나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이곳에 투자하기로 한 국내 배터리 관련 기업들이 이르면 2025년부터 새만금 산업단지 내에서 배터리 소재 생산에 돌입하기로 목표를 정했다는 것이다. 정부 측 기존 계획에 따르면 상업생산이 시작되는 2025년에는 SOC 건설이 완료돼 공장 가동에 문제가 없을 것으로 봤으나 지금에 와서는 기약 없이 기반시설 건설이 완공되기를 기다려야 하는 상황이다.
국내 배터리업계가 새만금 산업단지에 짓고자 하는 공장은 전구체 공장으로 니켈, 코발트, 망간, 알루미늄 등을 배합해 만드는 양극재 중간물질이다.
전구체를 만드는 데 필요한 원자재는 사실상 전부 수입하는 상황이어서 공장 가동에는 철도, 도로, 공항 등 SOC가 필수적이다. 정부 차원에서 SOC를 건설하지 않는다면 새만금에 공장을 지을 이유가 없다고 업계 관계자는 설명한다.
국토교통부가 새만금 SOC 사업을 전면 재검토하겠다고 밝힌 29일 오전만 해도 LS그룹이 LS-엘앤에프 배터리솔루션을 중심으로 새만금 산업단지 5공구(33만8000㎡)에 양극소재인 전구체 제조공장을 연내 착공하고 직원 1400명 이상을 신규 채용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LS그룹은 2025년에는 양산에 돌입한다는 계획이다. 투자금은 1조원 이상이다.
이에 앞서 LG화학은 중국 화유코발트와 함께 새만금지구에 1조2000억원을 투자해 연산 5만t(톤) 규모인 전구체 공장을 건설한다고 밝힌 바 있다. LG화학 역시 연내 착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SK온, 에크프로머티리얼즈, GEM도 지난 3월 새만금지구에 LG화학과 같은 규모로 투자를 진행해 연산 5만t 규모인 전구체 공장을 건설하겠다고 밝혔다. 연내 착공해 2024년 완공이 목표다.
정부는 기존 사업계획을 배터리 산업단지 등에 맞게 조정하기 위한 용역이라고 설명했으나 SOC 건설이 1년 이상 지체되는 것은 부인하기 힘들다.
늦어진 배터리 산업단지 조성이 국내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중국이 베트남,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 배터리소재 생산거점 확보에 속도를 내고 있는 가운데 우리 기업이 새만금지구에 산업단지를 조성해도 이미 시장이 동남아로 넘어갈 수 있다는 지적이다. 실제 글로벌 전구체 1위 업체인 중국 CNGR은 중국과 베트남을 잇는 글로벌 공급망 구축에 나선 상태며 2025년부터는 아시아 역내 전구체 공급망이 완성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배터리업계 관계자는 “더 나은 방향으로 새만금지구 계획을 발전시키려는 정부 방침에는 충분히 공감한다”면서도 “다만 너무 오래 끌게 되면 이미 아시아 시장을 뺏긴 후일 수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올해부터는 공사에 들어가 이르면 2025년 배터리 소재 상업생산을 계획했으나 당초 계획보다 최대 2년 이상 생산이 미뤄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미 미국, 유럽연합(EU), 중국이 보호주의를 통해 역내 배터리 생산거점을 확보한 상황에서 배터리 소재 생산거점 역시 동남아에 내줄 수 있다는 우려까지 제기된다.
30일 조달청 나라장터에 따르면 정부가 지난 23일 공고한 ‘새만금지구 국가산업단지 토지이용계획 재검토 용역’ 과업 기간은 착수일로부터 15개월이다.
용역 내용은 새만금 SOC 건설에 대한 재검토와 산업단지 여건 변화에 따른 새로운 도시계획 수립이다. 정부가 수립한 기존 계획에 따르면 올해는 새만금지구에 공항을 포함한 주요 기반시설 공사가 시작될 예정이었다.
하지만 새로운 용역 공고에 따르면 9월 말에는 용역업체를 선정하고 과업 착수에 돌입할 예정인데 용역 결과가 나오고 검토를 거치게 된다면 본격적인 공사는 2025년에나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이곳에 투자하기로 한 국내 배터리 관련 기업들이 이르면 2025년부터 새만금 산업단지 내에서 배터리 소재 생산에 돌입하기로 목표를 정했다는 것이다. 정부 측 기존 계획에 따르면 상업생산이 시작되는 2025년에는 SOC 건설이 완료돼 공장 가동에 문제가 없을 것으로 봤으나 지금에 와서는 기약 없이 기반시설 건설이 완공되기를 기다려야 하는 상황이다.
국내 배터리업계가 새만금 산업단지에 짓고자 하는 공장은 전구체 공장으로 니켈, 코발트, 망간, 알루미늄 등을 배합해 만드는 양극재 중간물질이다.
전구체를 만드는 데 필요한 원자재는 사실상 전부 수입하는 상황이어서 공장 가동에는 철도, 도로, 공항 등 SOC가 필수적이다. 정부 차원에서 SOC를 건설하지 않는다면 새만금에 공장을 지을 이유가 없다고 업계 관계자는 설명한다.
국토교통부가 새만금 SOC 사업을 전면 재검토하겠다고 밝힌 29일 오전만 해도 LS그룹이 LS-엘앤에프 배터리솔루션을 중심으로 새만금 산업단지 5공구(33만8000㎡)에 양극소재인 전구체 제조공장을 연내 착공하고 직원 1400명 이상을 신규 채용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LS그룹은 2025년에는 양산에 돌입한다는 계획이다. 투자금은 1조원 이상이다.
이에 앞서 LG화학은 중국 화유코발트와 함께 새만금지구에 1조2000억원을 투자해 연산 5만t(톤) 규모인 전구체 공장을 건설한다고 밝힌 바 있다. LG화학 역시 연내 착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SK온, 에크프로머티리얼즈, GEM도 지난 3월 새만금지구에 LG화학과 같은 규모로 투자를 진행해 연산 5만t 규모인 전구체 공장을 건설하겠다고 밝혔다. 연내 착공해 2024년 완공이 목표다.
정부는 기존 사업계획을 배터리 산업단지 등에 맞게 조정하기 위한 용역이라고 설명했으나 SOC 건설이 1년 이상 지체되는 것은 부인하기 힘들다.
늦어진 배터리 산업단지 조성이 국내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중국이 베트남,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 배터리소재 생산거점 확보에 속도를 내고 있는 가운데 우리 기업이 새만금지구에 산업단지를 조성해도 이미 시장이 동남아로 넘어갈 수 있다는 지적이다. 실제 글로벌 전구체 1위 업체인 중국 CNGR은 중국과 베트남을 잇는 글로벌 공급망 구축에 나선 상태며 2025년부터는 아시아 역내 전구체 공급망이 완성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배터리업계 관계자는 “더 나은 방향으로 새만금지구 계획을 발전시키려는 정부 방침에는 충분히 공감한다”면서도 “다만 너무 오래 끌게 되면 이미 아시아 시장을 뺏긴 후일 수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