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주권' 확보 나선 K배터리…'Baas'로 진단부터 잔존가치 평가까지
2023-06-11 18:08
최근 LG에너지솔루션은 자사의 BaaS(Battery as a Service, 서비스형 배터리)인 '비라이프케어사업' 홍보에 한창이다. BaaS는 전기차 사용자에게 전기차 배터리의 상시 진단 및 수명 예측부터 잔존가치 평가에 이르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비즈니스 모델이다.
회사는 신사업의 일환으로 소개하고 있지만 일각에서는 '데이터 주권'을 확보하기 위한 시도라고 보고 있다. 전기차 화재 발생시 차량 제조업체와의 책임 소재와 리콜 분담 비율을 정확히 가리기 위해 배터리 업체들이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함으로 풀이된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달 31일 레드캡투어에 이어 이달 9일 수입차 7개 딜러사와 BaaS 관련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레드캡투어가 관리하는 공공기관 대상 렌터카에 비라이프케어를 탑재해 전기차 운행 상태를 관리한다.
또 LG에너지솔루션은 아우토플라츠, 마이스터 모터스, 클라쎄오토, 유카로 오토모빌, 아우토반브이에이지, 지오하우스, G&B 오토모빌 등 총 7곳에서 판매하는 차량에 비라이프케어 등을 탑재하기로 했다.
B2B(기업간거래)에서 B2C(기업과소비자거래)로 사업 접점을 넓히기 위한 행보로 풀이된다. 또 전기차 화재 사고에서 완성차업체와 책임 소재를 가를 수 있는 방법으로 활용될 수도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이 전기차 도소매업계와 협업하는 이유도 완성차의 고유 영역에 우회적으로 침투하려는 의도다. 특히 완성차가 만드는 배터리관리시스템(BMS)에 접근하기 위해서다.
BaaS 데이터는 BMS에서 추출되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다. BMS는 배터리의 전압·전류·온도 등을 실시간 검출해 배터리의 전기적 상태를 파악하는 역할을 한다. BMS는 배터리의 과충전을 자동 제어하기 때문에 오류시 화재로 이어질 수 있다. 이 때문에 BMS 불량 때문에 전기차에서 불이 났다고 판명되면 이를 만든 완성차의 과실 비율이 커진다.
하지만 BMS는 완성차 고유의 기술이라 대외공개를 꺼린다. 전기차에는 배터리가 '셀→모듈→팩' 단계를 거쳐 탑재된다. 보통 배터리 제조사가 배터리셀과 모듈까지 생산해 공급한다. 이후 완성차가 BMS 하드·소프트웨어, 냉각 장치 등을 추가해 배터리팩으로 만들기 때문에 BMS에 대한 접근이 배터리 제조사에는 제한된다. LG에너지솔루션이 과거 코나 화재 리콜 때 BMS 불량을 주장한 이유는 현대차의 과실을 높이기 위해서였지만 이를 규명하기엔 역부족이었다. 이에 현대차와 LG에너지솔루션은 '코나 리콜' 비용을 3대7로 분담했다.
전기차 화재 논란은 현재 진행 중이다. LG에너지솔루션이 데이터 확보 사업을 가속화하는 이유다. LG에너지솔루션은 올해에도 수건의 전기차 배터리 화재 사고와 연루됐다. 이번 리콜 원인은 배터리 결함으로 추정되는 화재 위험 때문으로 알려졌다.
SK온과 삼성SDI도 BaaS 사업에 뛰어들었다. SK온은 관계사인 SK렌터카와 SK시그넷이 가지고 있는 전기차와 전기차 충전기를 활용해 데이터를 확보하고 있다. 삼성SDI는 BaaS 관련 스타트업 피엠그로우에 전략적 투자를 단행했다.
업계 관계자는 "배터리 업체의 BaaS 사업은 엔진이나 미션 업체가 자동차 상태 점검을 하겠다는 것과 같은 이치"라며 "현대차와 같은 완성차 업체의 반발이 예상되지만 이를 막을 법적 근거는 없다"고 말했다.
회사는 신사업의 일환으로 소개하고 있지만 일각에서는 '데이터 주권'을 확보하기 위한 시도라고 보고 있다. 전기차 화재 발생시 차량 제조업체와의 책임 소재와 리콜 분담 비율을 정확히 가리기 위해 배터리 업체들이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함으로 풀이된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달 31일 레드캡투어에 이어 이달 9일 수입차 7개 딜러사와 BaaS 관련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레드캡투어가 관리하는 공공기관 대상 렌터카에 비라이프케어를 탑재해 전기차 운행 상태를 관리한다.
또 LG에너지솔루션은 아우토플라츠, 마이스터 모터스, 클라쎄오토, 유카로 오토모빌, 아우토반브이에이지, 지오하우스, G&B 오토모빌 등 총 7곳에서 판매하는 차량에 비라이프케어 등을 탑재하기로 했다.
B2B(기업간거래)에서 B2C(기업과소비자거래)로 사업 접점을 넓히기 위한 행보로 풀이된다. 또 전기차 화재 사고에서 완성차업체와 책임 소재를 가를 수 있는 방법으로 활용될 수도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이 전기차 도소매업계와 협업하는 이유도 완성차의 고유 영역에 우회적으로 침투하려는 의도다. 특히 완성차가 만드는 배터리관리시스템(BMS)에 접근하기 위해서다.
BaaS 데이터는 BMS에서 추출되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다. BMS는 배터리의 전압·전류·온도 등을 실시간 검출해 배터리의 전기적 상태를 파악하는 역할을 한다. BMS는 배터리의 과충전을 자동 제어하기 때문에 오류시 화재로 이어질 수 있다. 이 때문에 BMS 불량 때문에 전기차에서 불이 났다고 판명되면 이를 만든 완성차의 과실 비율이 커진다.
하지만 BMS는 완성차 고유의 기술이라 대외공개를 꺼린다. 전기차에는 배터리가 '셀→모듈→팩' 단계를 거쳐 탑재된다. 보통 배터리 제조사가 배터리셀과 모듈까지 생산해 공급한다. 이후 완성차가 BMS 하드·소프트웨어, 냉각 장치 등을 추가해 배터리팩으로 만들기 때문에 BMS에 대한 접근이 배터리 제조사에는 제한된다. LG에너지솔루션이 과거 코나 화재 리콜 때 BMS 불량을 주장한 이유는 현대차의 과실을 높이기 위해서였지만 이를 규명하기엔 역부족이었다. 이에 현대차와 LG에너지솔루션은 '코나 리콜' 비용을 3대7로 분담했다.
전기차 화재 논란은 현재 진행 중이다. LG에너지솔루션이 데이터 확보 사업을 가속화하는 이유다. LG에너지솔루션은 올해에도 수건의 전기차 배터리 화재 사고와 연루됐다. 이번 리콜 원인은 배터리 결함으로 추정되는 화재 위험 때문으로 알려졌다.
SK온과 삼성SDI도 BaaS 사업에 뛰어들었다. SK온은 관계사인 SK렌터카와 SK시그넷이 가지고 있는 전기차와 전기차 충전기를 활용해 데이터를 확보하고 있다. 삼성SDI는 BaaS 관련 스타트업 피엠그로우에 전략적 투자를 단행했다.
업계 관계자는 "배터리 업체의 BaaS 사업은 엔진이나 미션 업체가 자동차 상태 점검을 하겠다는 것과 같은 이치"라며 "현대차와 같은 완성차 업체의 반발이 예상되지만 이를 막을 법적 근거는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