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손 청구 중계기관에 보험개발원 거론...업계는 '심평원' 원한다
2023-05-18 15:07
"중계 전산망부터 인력 채용 등 인프라 구축 하세월"
심평원 9만8천여 병의원 인프라 보유…전문성도 ↑
"중계기관, 원점에서 재논의 시작해야…철저한 사전 검증도"
심평원 9만8천여 병의원 인프라 보유…전문성도 ↑
"중계기관, 원점에서 재논의 시작해야…철저한 사전 검증도"
'실손의료보험 청구 간소화' 도입이 초읽기에 들어가면서 청구 중계기관으로 보험개발원이 거론되고 있다. 하지만 보험권에서는 이를 반기지 않는 분위기가 감지된다. 기존 중계기관으로 논의됐던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의료·약가를 심사하는 기관인 만큼 전문성은 물론 전국 병·의원과 전산 인프라가 구축돼 있어 효율성 측면에서 낫다는 평가가 나온다.
18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국회 정무위원회는 최근 법안심사소위에서 실손 청구 간소화 내용을 담은 '보험업법 일부 개정 법률안'을 통과시켰지만 청구 중계기관은 확정하지 않았다. 공공성·보안성·전문성 등을 고려해 청구 중계기관은 추후 대통령령으로 정하도록 했다.
앞서 보험업계는 중계기관으로 심평원을 원했지만 의료계 반대가 커지자 정치권 등에서 보험개발원을 새로운 대안으로 제시한 바 있다. 의료계는 심평원이 중계기관으로 선정되면 실손 데이터를 들여다보거나 건강보험 대상이 아닌 비급여 의료행위까지 심사할 가능성이 있다고 염려했다.
반면 보험개발원은 중계 전산망부터 이를 관리할 인력 채용 등 보험업계 비용 부담이 커지는 것은 물론 관련 제도 실행 속도도 느려질 수밖에 없다고 입을 모은다. 여기에 보험개발원이 심평원과 같은 공공기관이 아니다 보니 주기적 운영비 지출도 더해질 것이란 전망이다.
보험개발원 운영 능력에 의구심을 표하는 반응도 나온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보험개발원은 보험요율 산정 등 통계에 기반한 데이터를 주로 다루는 곳인데 4000만명에 육박하는 방대한 실손 가입자 데이터를 무리없이 운영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의구심이 존재하는 것이 사실"이라며 "무조건적인 중계기관 선정보다는 데이터 운영 능력에 대한 철저한 사전 검증 작업이 선행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