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임 1년' 이창용, 물가·시장안정 총력 '호평'... 과제도 산적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1일 취임 1주년을 맞는다. 이 총재가 취임한 작년 4월 1.5%였던 기준금리는 고강도 긴축으로 1년 만에 2%포인트 뛰었고 이로 인해 6%대를 웃돌던 물가 상승률(전년 대비)은 지난달 기준 4.2%로 확연한 둔화세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 채권시장 경색에 따른 안정 조치 등 대내외 금융 불안 상황을 대체적으로 잘 풀어내고 있다는 평을 받고 있지만 해결해야 할 과제도 적지 않다.
19일 금융권에 따르면 3년 중 1년 임기를 채운 이 총재에 대한 평가는 대체로 긍정적이다. 전날 한은 노동조합이 이 총재 취임 1년을 맞아 직원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응답자 1002명)에서 80% 이상이 지난 1년간 한은의 물가와 금융시장 안정 노력이 시의적절했는지에 대한 질문에 긍정적으로 답변했다. 이 총재의 학식과 전문성, 국제교섭력을 바탕으로 한은 위상이 높아졌다고 평가한 직원들도 상당수였다.
이 총재는 한은 역사상 최단기간에 최대폭으로 기준금리 인상을 이끈 총재로 꼽힌다. 특히 한국에선 유례가 없던 빅스텝(기준금리 0.50%포인트 인상)을 처음으로 단행한 총재이기도 하다. 이 총재 진두지휘하에 한은의 통화긴축 움직임은 신속했고 그 결과 기준금리는 14년여 만에 3.5%에 도달했다. 최근 들어 물가 상승률이 뚜렷한 둔화세를 보이고 있지만 이 총재는 "안심하기엔 이르다"며 '매파' 목소리를 내면서 물가 안정을 위한 소방수 역할을 자처하고 있다.
아시아개발은행(ADB) 이코노미스트, 국제통화기금(IMF) 아시아·태평양 국장 등을 거친 '외부 출신'인 이 총재는 한은 내부에 변화의 바람을 불어넣었다. 한은 구성원들이 격의 없이 주요 경제 현안에 대한 의견을 나누는 '주간 현안포럼'을 도입한 것을 시작으로 타운홀 미팅 등 다양한 소통 창구를 마련했다. 한은은 대한상공회의소 등 외부 기관과 함께 대외 행보도 부쩍 늘렸다. 이 총재는 시장과 소통하는 데도 방점을 찍었다. 지난해 11월부터 최종 금리 수준에 대한 금통위원 의견을 공개하는 '한국식 점도표'를 도입한 것이 대표적 예다.
그러나 취임 2년 차에 접어든 이 총재가 풀어야 할 과제도 적지 않다. 통화정책과 관련한 ‘포워드 가이던스(사전 안내)'를 둘러싼 논란이 여전하다. 시장에서는 통화정책에 투명성을 높인다는 긍정적 평가와 시장 쏠림 현상이 확대된다는 부정적 지적도 있다.
한은의 통화정책과 정부 재정정책을 둘러싼 엇박자 논란도 풀어야 할 과제다. 이 총재는 지난해 "한은이 정부로부터 독립돼 있다"고 언급했지만 정치권에서는 사문화된 '열석발언권'을 되살려야 한다는 주장이 때만 되면 등장한다. 금융당국도 '상생금융'을 명분으로 금융기관에 대한 금리 인하 압박에 나서는 상황이다. 이 때문에 높은 기준금리에도 여수신 등 시장금리가 하락하는 '금리 엇박자'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이 같은 현상이 통화정책 신뢰도를 떨어뜨리고 금융 불안으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정부의 통화정책 개입 최소화에 힘을 쏟아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