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보는 APFF] 찰스 굿하트 교수 "고금리·인플레이션 기조 장기간 이어질 것"

2023-03-20 00:05

찰스 굿하트 런던정치경제대(LSE) 명예교수 [사진=연합뉴스]

“엔데믹(풍토병으로 굳어진 감염병) 이후 촉발된 물가와 금리 급등이 진정돼도 인플레이션(물가 상승)과 고금리 기조는 향후 몇십 년간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찰스 굿하트 런던정치경제대(LSE) 명예교수는 21일 열리는 '2023 아시아·태평양 금융포럼(APFF)' 강연을 앞두고 사전 인터뷰를 통해 이같이 말했다.
 
이러한 주장을 내놓은 이유는 코로나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으로 인해 뒤틀려버린 ‘글로벌 고령화’다. 코로나 확진자가 끝없이 늘어날 당시 재택근무가 대세로 자리 잡았고 고령자 중 상당수는 예전 생활로 돌아오지 못했다. 60~65세 근로자는 빠른 은퇴를 결정하기도 했다. 코로나는 고령층 건강 악화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로 인해 엔데믹 국면을 맞이한 지금 생산 가능한 인구 비중이 급격히 축소됐다고 굿하트 교수는 주장했다. 고령자를 돌보는 데 투입되는 노동력도 상당하다. 이는 임금 상승을 유발할 동력이 되고 결국 물가 상승을 촉진하게 된다. 고령화로 인해 가계 저축이 제대로 형성되지 못한 점도 문제다.
 
그 중심에는 중국이 있다. 그간 중국은 풍부한 노동력을 바탕으로 장기적인 저물가 국면을 조성해왔다. 높은 저축률로 금리 수준도 끌어내렸다. 하지만 앞으로 중국에 이러한 역할은 기대하기 힘들게 됐고 글로벌 고령화 추세 속에서 인플레이션이 구조적으로 발생할 수밖에 없다고 봤다. 실제로 2000년 당시 월 781위안(당시 기준 약 94달러)에 그쳤던 중국 도시 근로자 평균 임금(민간기업)은 2021년 5240위안(약 750달러)까지 치솟았다.
 
향후 이러한 현상은 더욱 가속화할 수밖에 없다. 중국 합계출산율이 1970년대 가임여성 1명당 6.09명에서 지난해 1.18명까지 떨어졌기 때문이다. 이런 추세라면 2070년 중국 고령 인구 비중은 13.7%에서 36.9%로 세 배가량 뛰게 된다. 같은 기간 중국 생산가능인구는 9억8000만명에서 5억8000만명으로 줄어든다.
 
그는 “이 같은 이유로 당분간 글로벌 주요국 기준금리는 과거와 같은 저금리 수준으로 돌아가지 않을 것”이라며 “향후 몇십 년간 일반적인 기준금리는 3~4% 정도, 인플레이션율은 연 2~3% 정도 기록할 가능성이 크다”고 예상했다.
 
고령화로 인한 국가 재정 부담 폭증도 필연적 요인으로 꼽았다. 이를 촉발할 트리거는 간병이다. 고령층에 대한 간병 업무는 기계가 대체할 수 없다. 일례로 일본은 전체 노동력 중 20%가 간병 관련 일을 하는 상황이다. 굿하트 교수는 이로 인해 민간 소비 역시 간병 관련 지출 비중이 커질 수밖에 없고 공공재정이 져야 하는 부담도 기하급수로 늘어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미국과 영국 의회 예산처(CBO)는 고령화로 인한 의료비 부담 폭증을 예상하고 있다”며 “민간 소비도 점차 간병 관련 지출이 증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를 해결하려면 결국 젊은 사람들에게 더 많은 세금을 부과할 수밖에 없다. 이후 젊은 층은 현 생활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 더 높은 임금을 요구할 것이고 이는 인플레이션을 촉발하는 또 다른 요인으로 작용한다. 결국 고령화와 인플레이션이 맞물리는 악순환이 꾸준히 이어지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