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배터리 기업, 자국 투자 늘리며 脫중국 공급망 구축 박차
2023-01-16 14:22
아르헨티나 리튬 염호에서 탐사 진행하는 모습. 사진은 본문과 직접 관련 없음. [사진=연합뉴스]
호주 배터리 기업이 탈중국 공급망 구축을 가속화하고 있다.
16일 블룸버그통신은 호주 기업 리차지인더스트리가 중국산 원자재를 사용하지 않고 리튬 이온 배터리를 제조하기 위해 3억 호주 달러(약 2600억원)의 공장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고 전했다.
리차지인더스트리의 창업자 데이비드 콜라드는 호주 남동부 질롱 인근에 리튬 이온 배터리 공장을 건설해 내년 말 전에 생산을 시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 해당 공장은 연간 30GWh(기가와트시) 규모의 생산 능력을 갖추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다만 최근 미국 자동차 업체 포드나 LG에너지솔루션(엔솔)-혼다가 투자를 발표한 공장이 40GWh(기가와트시)인 점을 고려하면 규모가 큰 편은 아니다.
호주 기업의 이같은 배터리 투자는 탈중국 행보로 보인다. 리튬은 호주, 칠레, 중국이 전체 리튬 생산의 90%를 차지하나 그 중 65%가 중국을 거쳐 고순도 리튬으로 제련된다. 기존 호주 배터리 업체들도 대개 배터리 원자재를 중국으로 보내 가공하는 방식을 택했다.
하지만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의 등장 이후 분위기가 바뀌고 있다. 중국에 대한 수입 의존도를 줄여나가야만 시장에서 생존할 수 있기 때문이다. IRA는 전기차 구성 광물에 있어 미국 또는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를 체결한 국가에서 일정 비율 이상 채굴 가공해야 한다는 조항을 담고 있다.
동시에 세계 각국의 탈중국 공급망 구축을 위한 노력이 커지고 있다. 이날 미국 에너지부는 네바다주 리튬 채굴 프로젝트를 개발하기 위해 호주 광산업체 아이어니어에 최대 7억 달러(약 8700억원)를 대출하기로 했다. 에너지부가 리튬 채굴 프로젝트의 대출을 승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로 인해 배터리 제조 과정에서 탈중국 행보가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