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내년 수출 정체할 것…평균 0.5% 증가 전망"
2022-12-19 08:30
'2023년 수출 전망 조사' 발표…전기·전자, 석유화학 업종은 역성장 우려
최근 2년간 상승세를 이어온 수출이 내년에는 0%대 증가율을 보이며 정체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시장조사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매출액 1000대 기업 중 12대 수출 업종에 속한 업체 150곳을 대상으로 진행된 ‘2023년 수출 전망 조사’ 결과를 19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응답 기업들은 내년 수출이 올해보다 평균 0.5%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업종별 수출 증가율은 △전기·전자 –1.9% △석유화학제품 –0.5% △철강 0.2% △자동차 0.9% △일반기계·선박 1.7% △바이오·헬스 3.5% 등으로 관측됐다.
또 응답 기업 39.3%는 내년 수출이 올해보다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들은 그 이유로 ‘높은 수준의 원자재 가격에 따른 수출경쟁력 약화’(45.7%), ‘주요 수출국의 경기 부진’(33.9%) 등을 꼽았다. 기업들은 내년에 수출이 감소하면 공장운영비·판관비 등 비용을 절감(35.6%)하거나 채용 축소 등 고용을 조정(20.3%)하고 투자를 연기·축소(15.3%)하는 등의 방식으로 대응할 계획인 것으로 조사됐다.
응답 기업의 53.3%는 내년 수출 채산성이 올해와 비슷할 것으로 전망했다. 수출 채산성이 악화할 것으로 응답한 기업은 28.0%, 개선될 것으로 내다본 업체는 18.7%로 집계됐다. 수출 채산성이 악화될 것으로 보는 요인으로는 원유, 광물 등 원자재 가격 상승을 꼽은 기업이 54.7%로 제일 많았다. 환율 상승에 따른 수입 비용 증가, 이자 비용 상승을 원인으로 지목한 기업은 각각 14.3%, 11.9%로 그 뒤를 이었다.
채산성이 악화될 것이란 예상이 많은 업종은 △전기·전자(40.7%) △철강(31.3%) △석유화학제품(28.6%) △자동차(26.5%) 순으로 조사됐다.
응답 기업의 38.0%는 수출경쟁력 강화를 위해 정부가 원자재 수급 관련 세제 지원 정책을 우선순위에 둬야 한다고 봤다. 수출물류 차질 방지를 위한 지원과 공급망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외교적 노력이 필요하다는 응답도 각각 24.7%, 21.3% 나왔다.
유환익 전경련 산업본부장은 “코로나19 이후 경제 성장을 주도해온 수출 증가세가 정체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정부는 원자재 수입 관련 세제 지원 확대 등의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시장조사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매출액 1000대 기업 중 12대 수출 업종에 속한 업체 150곳을 대상으로 진행된 ‘2023년 수출 전망 조사’ 결과를 19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응답 기업들은 내년 수출이 올해보다 평균 0.5%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업종별 수출 증가율은 △전기·전자 –1.9% △석유화학제품 –0.5% △철강 0.2% △자동차 0.9% △일반기계·선박 1.7% △바이오·헬스 3.5% 등으로 관측됐다.
또 응답 기업 39.3%는 내년 수출이 올해보다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들은 그 이유로 ‘높은 수준의 원자재 가격에 따른 수출경쟁력 약화’(45.7%), ‘주요 수출국의 경기 부진’(33.9%) 등을 꼽았다. 기업들은 내년에 수출이 감소하면 공장운영비·판관비 등 비용을 절감(35.6%)하거나 채용 축소 등 고용을 조정(20.3%)하고 투자를 연기·축소(15.3%)하는 등의 방식으로 대응할 계획인 것으로 조사됐다.
응답 기업의 53.3%는 내년 수출 채산성이 올해와 비슷할 것으로 전망했다. 수출 채산성이 악화할 것으로 응답한 기업은 28.0%, 개선될 것으로 내다본 업체는 18.7%로 집계됐다. 수출 채산성이 악화될 것으로 보는 요인으로는 원유, 광물 등 원자재 가격 상승을 꼽은 기업이 54.7%로 제일 많았다. 환율 상승에 따른 수입 비용 증가, 이자 비용 상승을 원인으로 지목한 기업은 각각 14.3%, 11.9%로 그 뒤를 이었다.
채산성이 악화될 것이란 예상이 많은 업종은 △전기·전자(40.7%) △철강(31.3%) △석유화학제품(28.6%) △자동차(26.5%) 순으로 조사됐다.
응답 기업의 38.0%는 수출경쟁력 강화를 위해 정부가 원자재 수급 관련 세제 지원 정책을 우선순위에 둬야 한다고 봤다. 수출물류 차질 방지를 위한 지원과 공급망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외교적 노력이 필요하다는 응답도 각각 24.7%, 21.3% 나왔다.
유환익 전경련 산업본부장은 “코로나19 이후 경제 성장을 주도해온 수출 증가세가 정체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정부는 원자재 수입 관련 세제 지원 확대 등의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