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세에 가장 많이 벌지만...61세부터 '적자 인생'

2022-11-29 12:00
통계청, '2020년 국민이전계정' 결과 발표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우리나라 국민은 27세부터 일해서 버는 소득이 소비보다 많은 '흑자 인생'에 진입해 43세에 흑자 정점(1726만원)을 찍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61세부터는 근로 소득보다 소비가 많은 '적자 인생'에 접어드는 것으로 분석됐다. 
 
'적자 인생' 진입 연령 꾸준히 증가 추세···은퇴 연령 늦어진 탓
통계청은 29일 이런 내용이 담긴 '2020년 국민이전계정' 결과를 발표했다. 국민이전계정은 연령별 노동 소득, 소비, 공적 이전, 사적 이전 등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지표로 세대 간 재정 부담 재분배 상황을 보여준다.

우리나라 국민은 0세부터 26세까지는 소비가 노동 소득보다 많아 적자 상태다. 27세에 흑자로 전환한 이후 60세까지 흑자가 계속되지만 61세부터는 다시 노동 소득보다 소비가 많아져 '적자 인생'으로 돌아선다. 인생에서 흑자를 내는 기간은 33년에 불과한 셈이다.

통계를 처음 작성한 2010년에는 27세에 흑자 인생에 돌입해 39세에 최대 흑자를 기록하고 56세에 적자 인생을 시작했다. 그러나 고령화로 일하는 노년이 늘어나면서 적자로 돌아서는 연령이 61세로 늦춰졌다. 적자에 진입하는 연령대는 은퇴 연령이 점차 늦어지면서 2013년(56세) 이후 꾸준히 높아지는 추세다. 2019년에는 적자 재진입 연령이 처음으로 60세를 돌파했다.

1인당 생애주기를 보면 적자 규모가 가장 큰 연령대는 16세로, 노동 소득은 미미한 반면 교육비 등 영향으로 적자가 3370만원에 달했다. 27세부터는 사회 진출 확대로 노동 소득이 소비를 추월하면서 흑자로 돌아선다. 특히 42세에는 노동 소득이 3725만원으로 정점을 찍는다. 43세에는 노동 소득에서 소비를 뺀 흑자 규모가 1726만원으로 생애 최대를 기록한다.

이후 60세까지 흑자가 계속되지만 61세부터는 다시 노동 소득보다 소비가 많아져 '적자 인생'으로 돌아선다. 나이가 들수록 적자 규모는 커져 70대에는 1000만원 중반대, 80대에는 1000만원 후반대에 이른다.
 
코로나 영향으로 소비는 전년 대비 1.9%↓···소득은 1.5%↑
2020년 전체 소비는 코로나19 사태 영향으로 전년 대비 1.9% 감소한 1081조8000억원이었다. 노동연령층(780조8000억원)의 소비가 가장 많고 유년층(141조8000억원)과 노년층(159조2000억원) 순이었다.

전체 소비 가운데 공공 소비는 350조1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6.5% 증가했다. 특히 전체 공공 소비 중 노년층이 차지하는 비중은 19.9%로 2010년(13.7%)과 비교해보면 빠른 속도로 늘고 있다. 

민간 소비는 731조7000억원으로 5.5% 감소했다. 유년층에서 63조7000억원, 노동연령층에서 578조6000억원, 노년층에서 89조4000억원으로 집계됐다. 1인당 소비가 가장 많은 시기는 16세로 3370만원에 달했다. 유년층은 교육 소비 영향이, 노년층은 보건 소비 영향이 가장 크다.

공공 소비 가운데 교육 소비는 6~17세가 주된 소비 주체이며 65세 이상 노년층은 보건 소비의 주된 주체로 나타났다. 1인당 민간 소비는 노동연령층이 578조6000억원으로 주된 소비 주체였다. 특히 노년층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공공 소비와 민간 소비 모두 노년층 규모는 꾸준히 늘어나는 추세다.

노동 소득 총량 값은 전년 대비 1.5% 증가한 984조3000억원이었다. 이 중 15~64세 노동연령층은 948조원으로 전체 노동 소득 중 96.3%를 차지했다. 특히 65세 이상 노년층은 노동 소득 규모가 전년 대비 11.4% 증가했다. 은퇴 연령이 점차 늦춰진 게 영향을 미쳤다.

전년 대비 임금 소득은 2.5% 증가했지만 자영업 노동 소득은 21.4% 감소했다. 통계청은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 등 영향으로 자영업자 매출액이 급감한 것을 원인으로 꼽았다.
 
공공자산 재배분 2020년 처음으로 순유출→순유입 전환
생애주기 적자 총량 값은 전년 대비 26.7% 감소한 97조5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체 생애 소비에서 노동 소득을 뺀 값이다. 소비는 전년 대비 1.9% 감소했지만 노동 소득은 984조3000억원으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1.5% 증가했다. 

생애주기별로 발생한 적자는 '이전'과 '자산 재배분'을 통해 충당된다. 노동연령층에서 순유출된 250조5000억원은 유년층과 노년층으로 각각 141조8000억원, 105조60000억원 이전됐다. 자산을 매개로 한 자산 재배분은 모든 연령층에서 순유입이 발생했다. 특히 공공저축 감소로 공공자산 재배분이 2020년에 처음으로 순유출에서 순유입으로 전환됐다.

세금 흐름을 볼 수 있는 공공 이전을 살펴보면 노동연령층이 낸 세금은 160조6000억원이었다. 정부는 이 중 유년층에 77조9000억원, 노년층에 82조7000억원 배분했다. 노동연령층이 낸 세금이 유년층과 노년층의 교육·보건 서비스, 아동수당, 기초연금, 연금 등으로 쓰이고 있다는 얘기다. 민간 이전은 가족 부양 등으로 노동연령층에서 89조9000억원 순유출돼 유년층과 노년층으로 흘러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