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사회·경제지표 첫 공개···"결혼·소비↓, 우울증↑"

2022-11-28 12:32

홍석철 코로나19 국가감염병위기대응자문위원회 사회경제분과 위원이 2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감염병 위기 대응을 위한 사회경제지표 구축 및 활용방안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코로나19 유행으로 소비, 고용, 결혼과 출산 등이 줄었고 우울증을 겪는 인구는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감염병 위기대응을 위한 사회경제지표 체계 고도화로, 거시적인 관점에서 위기 대응 전략의 근거로 활용해야 한다는 제안도 나왔다. 

국가 감염병 위기대응 자문위원회(감염병 자문위)는 28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감염병 위기대응 사회경제 지표 구축·활용방안'을 발표했다.

감염병 자문위는 ▲국민 삶의 변화를 다각도로 살펴볼 수 있는 사례 ▲높은 정책 민감도 ▲짧은 측정주기 ▲높은 자료 접근성 등 3개 영역 10개 지표를 선정해 연구를 진행했다.

구체적으로 보면 경제 분야에선 소비지출, 일자리, 소상공인 관련 지표를, 사회 분야는 위기가구, 사회고립, 의료접근성, 교육환경, 인구동향 지표를, 수용성·위기인식 분야에선 인구이동, 위험인식 지표를 제시했다.

분석 결과 소비지출은 코로나19 유행 및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다중이용시설 및 여가 관련 업종은 더욱 민감하게 변했다.

실업급여 수급자 수는 코로나19 유행 이후 여성이 남성보다 상회하는 경향이 뚜렷해졌다. 이는 자녀 돌봄 필요와 연관됐다는 게 연구진의 분석이다.

다중이용시설 및 여가시설 영업 일수를 살펴보면 '오락 스포츠 및 문화', '음식 및 음료서비스' 분야 영업 일수는 방역정책 강화와 겨울철 유행에 따라 감소했다.

월별 우울증 환자 내원 일수는 코로나19 1년 차인 2020년에는 간헐적으로 우울증 환자 내원일수 증가가 관측되다가 2년 차인 2021년 3월부터 현저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혼인 건수는 2020년 3월 이후 급격하게 감소했다. 이후 2022년에는 다소 회복됐으나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출생아 수도 2022년 감소 폭이 더 크게 나타났다.

코로나19 상황에 대한 심각도 인식은 유행에 따라 증감하는 패턴을 보였다. 2022년 4월 거리두기 해제 이후에는 전반적으로 감소했다.

감염병 자문위는 이 같은 감염병 위기대응을 위한 사회경제지표 체계 고도화가 필요하다고 봤다. 특히 공공과 민간의 빅데이터를 활용해 국민 삶의 변화를 다각도로 살펴볼 수 있는 혁신적인 지표 개발이 요구된다고 제안했다.

홍석철 위원은 "코로나19를 경험하면서 재난지원금이나 취약계층, 소상공인에 대한 지원이 적기에 되지 않은 측면들이 있다"며 "우선적으로 위기계층을 파악해 어떤 지원이 필요한지 판단하는 데 중요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번 연구를 통해 사회경제 지표 체계 구축의 중요성을 인식시키는 한편, 감염병 위기가 다각도로 국민 삶에 미치는 경로와 영향에 대한 실증 연구가 활발히 추진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