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연구원, 내년 경제성장률 1.9% 전망…수출은 3.1% 감소
2022-11-21 15:29
글로벌 경기 부진·소비위축 영향…국제유가 90달러대·환율 1320원 수준
내년 우리 경제가 글로벌 경기 부진과 교역량 둔화 등의 대외 여건과 통화 긴축에 따른 소비 둔화 등의 대내 여건으로 인해 올해(2.5%)보다 낮은 1.9%의 성장률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된다. 수출도 반도체 산업 부진과 글로벌 경기 둔화의 영향으로 올해보다 3.1% 줄어든 6717억 달러에 그칠 전망이다.
산업연구원은 21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3년 경제·산업 전망' 보고서를 발표했다.
산업연구원은 코로나 상황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주요국들의 통화정책 기조, 고물가 및 금리 인상, 환율 및 금융시장 불안 등을 우리 경제에 미칠 대내외적 변수로 꼽았다. 또 미·중 간 대립과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한 주요국의 금융 긴축 정책의 영향으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세계 경제 성장세도 올해보다 둔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보고서에 따르면 내년 국내 민간소비 증가율은 올해보다 낮은 2.5%에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 고금리로 이자 부담이 급격히 늘면서 소비심리가 위축되고, 실질소득과 주요 자산 가격이 하락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내년 설비투자는 0.3% 감소하고, 건설투자는 1.6% 늘어날 전망이다. 글로벌 경기 둔화와 반도체 업황 악화로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달러 강세로 자본 조달 비용이 늘어나면서 설비 투자의 회복세가 지연될 가능성이 높다. 반면 건설 투자는 정부의 주택 공급 정책과 건설 자재 수급 안정화에 힘입어 증가세 전환이 기대된다.
내년 수출액은 올해보다 3.1% 감소한 6717억 달러에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 원·부자재 가격의 하락과 원화 약세로 수출 제품의 가격 경쟁력이 높아지겠지만, 반도체 산업 부진과 글로벌 경기 둔화의 영향을 상쇄하지는 못할 것으로 예측된다.
다만 국제 유가와 원자재 가격 안정으로 수입액은 올해보다 5.1% 감소한 6983억 달러를 기록할 전망이다. 이 영향으로 무역적자 규모도 올해보다 줄어든 266억 달러 정도로 추산된다.
산업연구원은 내년 국제유가는 90달러대, 환율은 1320원 내외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국내 13대 주력 산업의 수출은 자동차(2.5%), 조선(42.4%), 이차전지(17.3%), 바이오헬스(6.5%)를 제외한 대다수 산업의 증가율이 마이너스를 기록하면서 올해보다 4.0% 감소할 것으로 예측됐다. 소재 산업은 단가 하락과 수입 수요 둔화로 11.2%, IT 신산업군은 수요 부진과 해외 생산 확대로 5.0% 각각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내수는 조선(35.4%)과 이차전지(33.1%)를 제외하고 자동차, 일반기계, 정유, 석유화학 산업 등 대부분의 산업에서 감소세가 이어질 전망이다.
업종별 생산량은 기계산업군의 경우 자동차(-0.1%)와 일반기계(-9.5%)가 감소하고 조선(42.4%)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소재산업군에서는 철강(1.6%), 정유(1.1%)가 소폭 늘고 석유화학(-1.5%)은 감소할 것으로 분석됐다.
IT 신산업군은 가전(-3.1%), 반도체(-4.9%), 디스플레이(-2.7%) 생산이 줄어드는 대신 정보통신기기(1.4%), 이차전지(5.4%), 바이오헬스(7.9%) 등은 수요 확대에 힘입어 증가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13대 주력산업의 수입은 단가 안정화와 내수 경기 둔화 영향으로 올해보다 1.2%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산업연구원은 21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3년 경제·산업 전망' 보고서를 발표했다.
산업연구원은 코로나 상황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주요국들의 통화정책 기조, 고물가 및 금리 인상, 환율 및 금융시장 불안 등을 우리 경제에 미칠 대내외적 변수로 꼽았다. 또 미·중 간 대립과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한 주요국의 금융 긴축 정책의 영향으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세계 경제 성장세도 올해보다 둔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보고서에 따르면 내년 국내 민간소비 증가율은 올해보다 낮은 2.5%에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 고금리로 이자 부담이 급격히 늘면서 소비심리가 위축되고, 실질소득과 주요 자산 가격이 하락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내년 설비투자는 0.3% 감소하고, 건설투자는 1.6% 늘어날 전망이다. 글로벌 경기 둔화와 반도체 업황 악화로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달러 강세로 자본 조달 비용이 늘어나면서 설비 투자의 회복세가 지연될 가능성이 높다. 반면 건설 투자는 정부의 주택 공급 정책과 건설 자재 수급 안정화에 힘입어 증가세 전환이 기대된다.
내년 수출액은 올해보다 3.1% 감소한 6717억 달러에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 원·부자재 가격의 하락과 원화 약세로 수출 제품의 가격 경쟁력이 높아지겠지만, 반도체 산업 부진과 글로벌 경기 둔화의 영향을 상쇄하지는 못할 것으로 예측된다.
다만 국제 유가와 원자재 가격 안정으로 수입액은 올해보다 5.1% 감소한 6983억 달러를 기록할 전망이다. 이 영향으로 무역적자 규모도 올해보다 줄어든 266억 달러 정도로 추산된다.
산업연구원은 내년 국제유가는 90달러대, 환율은 1320원 내외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국내 13대 주력 산업의 수출은 자동차(2.5%), 조선(42.4%), 이차전지(17.3%), 바이오헬스(6.5%)를 제외한 대다수 산업의 증가율이 마이너스를 기록하면서 올해보다 4.0% 감소할 것으로 예측됐다. 소재 산업은 단가 하락과 수입 수요 둔화로 11.2%, IT 신산업군은 수요 부진과 해외 생산 확대로 5.0% 각각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내수는 조선(35.4%)과 이차전지(33.1%)를 제외하고 자동차, 일반기계, 정유, 석유화학 산업 등 대부분의 산업에서 감소세가 이어질 전망이다.
업종별 생산량은 기계산업군의 경우 자동차(-0.1%)와 일반기계(-9.5%)가 감소하고 조선(42.4%)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소재산업군에서는 철강(1.6%), 정유(1.1%)가 소폭 늘고 석유화학(-1.5%)은 감소할 것으로 분석됐다.
IT 신산업군은 가전(-3.1%), 반도체(-4.9%), 디스플레이(-2.7%) 생산이 줄어드는 대신 정보통신기기(1.4%), 이차전지(5.4%), 바이오헬스(7.9%) 등은 수요 확대에 힘입어 증가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13대 주력산업의 수입은 단가 안정화와 내수 경기 둔화 영향으로 올해보다 1.2%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