늙어 가는 韓 제조업…50대 근로자 9.0→23.9%
2022-10-26 08:09
26일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20년(2001~2021년) 동안 국내 제조업 근로자 연령대별 비중을 분석한 결과, 청년 근로자(15~29세) 비중은 2001년 29.7%에서 2021년 14.8%로 14.9%포인트(p) 감소했으나, 고령 근로자(50세 이상) 비중은 2001년 11%에서 2021년 31.9%로 20.9%p 크게 늘어났다고 밝혔다.
전경련은 GDP(국내총생산) 비중 1위(27.8%)를 차지하는 제조업 근로자의 급격한 고령화는 국내 경제의 노동생산성 저하와 수익비용 구조를 악화시킬 것으로 내다봤다. 우리나라의 2001년 대비 2021년 연령별 근로자 수 비중은 15~29세의 경우 29.7%에서 14.8%로 30대는 33.9%에서 26.4%로 줄어들었다. 반면 40대 근로자는 25.4%에서 28.3%, 50대는 9.0%에서 23.9%로, 60세 이상은 2%에서 8% 증가 추세다.
전경련은 대표적 제조업 국가인 미국·일본과 비교했을 때 우리나라 제조업 근로자 고령화는 빠르게 진행돼 올해 일본을 추월할 것으로 분석했다. 2025년에는 미국 근로자의 평균연령도 뛰어넘을 전망이다. 한·미·일 국제 비교가 가능한 2011년부터 최근까지 10년(2011~2021년) 동안 우리나라 제조업 근로자 평균연령은 3.8세 상승해 일본(1.5세↑)과 미국(0.1세↑)을 크게 앞지르고 있다.
전경련은 “호봉급은 노동생산성·업무효율과는 상관없이 근속연수에 따라 임금이 자동으로 상승하기 때문에 근로자 고령화는 곧 기업의 인건비 부담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면서 “기업들의 인건비 부담 가중은 신규 채용 감소로 이어질 수 있어 청년 고용시장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우려했다.
또한 인건비 등 노동비용 증가 속도가 노동생산성 증가 속도보다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2011년과 2020년의 제조업 노동비용총액 및 노동생산성을 비교한 결과 제조업의 노동비용 총액은 약 489만원에서 약 604만원으로 23.5% 증가, 노동생산성 지표는 99.5에서 115.6으로 16.2%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