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금리 시대, 중산층부터 '빚투' 부담 커진다
2022-10-13 16:00
3~5분위 금융부채 비율 상승폭, 1~2분위 대비 커
부동산·주식·가상화폐 등에 적극 투자한 결과로 추정
부동산·주식·가상화폐 등에 적극 투자한 결과로 추정
지난 5년간 중산층 이상 가구의 금융부채가 빠른 속도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작년 하반기부터 시작된 기준금리 인상 여파로 해당 가구들이 가장 먼저 직격탄을 맞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13일 한국은행과 통계청에 따르면 소득을 기준으로 중산층 이상 고소득층에 해당하는 3∼5분위 가구의 금융부채 비율이 큰 폭으로 상승한 반면, 저소득층인 1∼2분위는 오름폭이 작거나 오히려 하락한 것으로 파악됐다.
5년간 소득 대비 금융부채 비율이 가장 빠르게 상승한 가구는 소득 4분위 가구다. 해당 가구의 처분가능소득 대비 금융부채 비율은 2017년 113.1%에서 지난해 143%로 29.9%포인트 상승했다. 2017년 당시 4분위 가구의 처분가능소득은 5560만원, 금융부채는 6288만원으로 부채가 738만원 더 많았다. 그러나 5년 뒤인 지난해 해당 분위 가구의 처분가능소득과 금융부채는 각각 6093만원, 8711만원으로 소득과 부채 격차가 2618만원으로 벌어졌다.
반면 상대적으로 소득이 적은 2분위 가구의 경우 2017년 117.9%에서 지난해 127.5%로 부채 비율이 9.6%포인트 상승하는 데 그쳤다. 소득 하위 20%인 1분위는 같은 기간 115.3%에서 106.8%로 유일하게 8.5%포인트 감소했다. 이처럼 중산층 이상 가구를 중심으로 부채가 빠르게 늘어난 배경에는 해당 가구들이 지난 2017년부터 가격이 상승한 부동산과 가상화폐(코인) 등에 금융기관 대출을 받아 공격적으로 투자에 나섰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 같은 양상은 신용등급별 가계대출 비중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한은 가계부채 통계에 따르면 2017년 전체 가계대출(은행·비은행 포함)에서 고신용자(신용평가점수 840점 이상)의 비중은 69.7%였으나, 2018년 말 70%를 돌파했다. 이후 2019년 말 73.1%, 2020년 말 75.3%, 2021년 말 76.9%까지 올랐다. 그러나 중신용자(665∼839점) 비중은 2017년 말 24.5%에서 작년 말 19.9%까지 떨어졌고, 저신용자(664점 이하) 비중은 같은 기간 5.7%에서 3.3%로 하락했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금리 인상에 따른 부동산 가격, 가계부채 증가율 조정이 국민들에게 고통을 줄 수 있어 죄송한 마음"이라면서도 "(기준금리 인상이) 거시 경제 전체로는 금융안정에 기여하는 면도 있다는 생각"이라며 금리 인상에 대한 의지를 드러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