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통신망 전력 소모 줄여 탄소중립 속도 낸다"
2022-09-27 13:42
친환경 통신 인프라 기술 토대로 온실가스 감축과 탄소중립 속도
SKT는 향후 시장이 요구하는 더 빠른 데이터 속도를 충족하기 위해 보다 높은 대역의 주파수 이용을 위한 기지국 장비의 급격한 증가가 예상되는 만큼, 늘어난 전력 사용량을 상쇄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야 탄소중립 시대를 열 수 있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SKT는 △싱글랜 △AI기반 네트워크 설계 △냉방·저전력 설계 등 온실가스 직접 감축 등 근원적인 탄소중립 실행 방안을 마련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SKT는 이미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다양한 ICT 기술을 활용한 온실가스 감축을 실천하고 있으나, 현재 탄소중립 이행은 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나 재생에너지 구매계약을 통한 조달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반면 2050 탄소중립위원회의 '탄소중립 시나리오'에서는 2050년 우리나라 전력 수요가 지난 2018년 대비 3배 이상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통신 분야에서도 5G 이동통신 고도화와 6G 진화 과정에서 운용하는 통신장비가 늘어나면서 전력 사용량이 꾸준히 늘어나 직접적인 친환경 인프라 기술이 절실할 것으로 예상된다.
◆싱글랜, AI기반 네트워크, 냉방·저전력 설계 등 온실가스 직접 감축 노력↑
SKT는 2019년 세계 최초로 도입한 3G·4G 통합형 장비인 싱글랜(Single RAN)을 자사망에 활용해 올해 기준 연 3만여톤의 온실가스를 절감했다. 또 노후된 장비를 교체하고 신규 구축 지역 에너지 효율을 고려한 망 설계방식을 적용했다.
지역별 데이터 사용량을 면밀히 분석해 트래픽에 맞는 효율적인 장비로 조정하고, 서울 보라매사옥 등 160여개 사옥·국사에서 태양광 발전 설비를 기반으로 한 기지국을 운용해 에너지 효율을 높였다.
이와 함께 SKT는 AI 기반 지능형 분석으로 네트워크 트래픽 부하를 관리하는 관제 기술이나 기온이 낮은 동절기에 외기유입 방식으로 장비에서 발생하는 열을 식히는 방식을 도입하는 등 전기 사용을 줄이는 기술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SKT는 첨단 냉방 솔루션·저전력 설계 솔루션도 새로 적용할 예정이다. 신규 솔루션을 통한 SKT 온실가스 추가 감축분은 2030년까지 최대 7만여톤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통사·장비 제조사·공공기관과 적극적 협업으로 친환경 인프라 전환
SKT는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해 국내외 장비 제조 및 구축을 담당하는 이해관계자들과 협업, 전력효율화 등급 지표를 개발해 네트워크 장비들의 소모전력을 낮추는 노력을 주도하고 있다.
이동통신 3사 차원에서는 약 20만국의 공용화 인프라 설비를 운영해 통신 인프라 구축에 필요한 구조물 등을 중복 구축하는데 따른 환경 파괴를 막고 있다. 지역사회와의 협업 관점에서는 환경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지정한 생태보호구역 침범을 최소화할 수 있는 망 운용 방식을 고도화하고 있다.
SKT는 자사 탄소배출 감축 활동의 노하우를 모아 이동통신 사업자들의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한 '파워 세이빙 백서'를 연내 발간하고, 대형산불에 대비해 소방청 TVWS(TV유휴대역 주파수)망을 활용하는 등 공공기관과의 협력체계도 강화하는 등 통신 인프라를 활용한 ESG 노력을 지속할 계획이다.
강종렬 SKT ICT인프라 담당 겸 안전보건최고책임자는 "탄소중립은 전 세계 모든 통신 사업자가 당면한 도전적 과제"라며 "전사 역량을 모아 실효성 있는 저전력 솔루션을 구체화하고 이동통신 사업에 적용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