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 매각] 4.2조 혈세 투입 대우조선해양 '헐값 매각' 논란···구조조정 실패 책임론 불가피

2022-09-26 16:00

23년을 끌어온 대우조선해양 민영화가 막판 헐값 매각 논란까지 빚고 있다. 2조원 유상증자로 대우조선해양을 인수할 수 있는 것으로 확정되면서 당장 투입된 공적자금을 회수하기가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그동안 구조조정을 주도한 산업은행이 기업가치 유지 실패에 따른 책임을 면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26일 재계와 인수합병(M&A) 업계에 따르면 대우조선해양 대주주인 산업은행 등은 한화그룹과 2조원 규모 제3자 배정 유상증자에 대한 투자합의서(MOU)를 체결했다. 향후 유상증자가 마무리되면 대우조선해양 지분을 한화그룹이 49.3%, 산업은행이 28.2% 보유하게 된다.

업계에서는 우선 2008년과 2019년 대비 대우조선해양 인수 비용에 주목하고 있다. 과거 사례는 산업은행이 보유한 지분을 매각하는 것이고, 이번에는 지분을 매각하지 않고 3자 배정 유상증자라는 방식의 차이가 있지만 얼마만큼 대우조선해양 기업가치가 변했는지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것이다.

두 차례 시도 중 우선 눈에 띄는 것은 2008년 사례다. 그때도 대우조선해양 인수 주체로 한화그룹이 지목됐기 때문이다. 대우조선해양 매각 작업이 진행되던 당시 한화그룹은 예비입찰에서 6조3000억원을 인수가액으로 써 내면서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 그러나 매각 절차가 진행되는 와중에 글로벌 금융위기가 불거지면서 협상이 결렬되기에 이르렀다.

이를 감안하면 당시 6조원 이상에서 논의됐던 인수 비용이 14년 동안 40~50% 수준으로 줄어든 셈이다. 이에 대우조선해양 안팎에서는 회사를 너무 헐값에 매각한다는 불만이 커지고 있다.

아울러 그동안 대우조선해양에 투입된 공적자금이 4조2000억원에 달한다는 점을 감안해도 헐값 매각 논란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한화그룹이 유상증자를 단행하더라도 해당 자금 2조원은 고스란히 대우조선해양에 남게 된다. 결국 산업은행 등은 공적자금을 단 한 푼도 회수하지 못하는 셈이다. 향후 산업은행이 남은 지분을 높은 가격에 매각하면 공적자금을 회수할 수 있지만 당장 기회를 찾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M&A 업계에서는 오히려 대우조선해양 몸값 2조원이 적지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는 두 차례 매각 시도 중 비교적 최근인 2019년 사례에 방점을 둔 시각이다.

2019년 1월 산업은행은 대우조선해양 지분 55.7%를 한국조선해양(당시 현대중공업) 주식 현물과 맞바꾸는 M&A 계약을 체결했다. 한국조선해양이 지급하기로 했던 대가는 자사 보통주 8200억원과 전환상환우선주 1조2500억원가량이다.

즉 대우조선해양 지분 55.7% 가치를 약 2조700억원으로 책정한 것이다. 이는 당시 대우조선해양 주가인 3만4922원을 기준으로 지분율 55.7% 가치를 산정한 것과 동일한 수준이다.

그러나 최근 3년 동안 대우조선해양 주가는 크게 떨어졌다. 지난 23일 종가 기준 2만2000원으로 37% 줄었다. 이를 기준으로 보면 현재 대우조선해양 기업가치는 2019년보다 추가로 37%가량 줄어야 한다. 그러나 이번 방안은 유상증자에만 2조원을 투입해야 하고, 향후 산은 지분을 추가로 더 사들이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지출이 필요하다. 자칫 2019년 방안보다 비용이 더 늘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

문제는 한화그룹에 유상증자로 2조원을 받고 경영권을 넘기는 것 외에 대안이 없다는 점이다. 대우조선해양은 군함·잠수함을 건조하는 방산사업을 영위하기 때문에 기술력 유출 우려로 해외 매각이 어렵다. 결국 국내에서 조선산업을 영위하지 않는 인수자가 나서야 하지만 몸값 논란이 있는 대우조선해양을 사겠다는 지원자를 찾기가 어렵다.

아울러 재계에서는 대우조선해양 몸값 급락을 막지 못한 산업은행 등이 가장 문제라는 지적도 나온다. 당장 투입한 공적자금도 모두 회수하지 못할 만큼 대우조선해양 기업가치 개선에 실패했다는 지적이다.

재계 관계자는 "2조원이라는 매각가가 너무 헐값이라는 주장도 일리 있고, 2조원이 적정하다는 주장도 이해되는 측면이 있다"며 "양측 주장을 떠나 주가와 기업가치를 유지하지 못한 대우조선해양 경영진과 산업은행 측 책임이 큰 것 같다"고 말했다.
 

[사진=대우조선해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