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 돋보기] 오미크론보다 더 빠른 'BA.5'가 왔다

2022-07-13 15:50
우세종 된 BA.5, 바이러스 중 전파력 최대
백신접종·감염 여부 상관없이 재감염 가능
파우치 "사망 유발할 만큼 큰 위험은 아냐"

선별진료소를 찾은 시민들이 검사 순서를 기다리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거리두기 해제로 방역 긴장감이 완화된 가운데 코로나 확산세는 다시 거세지고 있다. 대면 활동이 증가하는 상황에 오미크론(BA.1) 하위 변위인 BA.5가 국내에서 빠르게 퍼지고 있기 때문. BA.5는 지구에 출몰했던 바이러스 중 전파력이 가장 강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렇다 보니 올해 초 겪었던 확진자 폭증이 재현되는 건 아닌지 우려가 나온다.

13일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BA.5가 오미크론에 이어 새로운 국내 우세종이 될 것으로 보인다. 7월 첫주(3∼9일) 국내감염 BA.5 검출률은 23.7%. 직전주(24.1%)보다 0.4%포인트 하락했다. 하지만 해외유입 BA.5 검출률은 70%로 직전주(49.2%)보다 20.8%포인트 증가했다.

임숙영 방대본 상황총괄단장은 "지난주 BA.5 국내 검출률이 크게 증가해 우세화가 빠른 시기에 이뤄질 것으로 예측했으나 이번에 다소 정체하는 듯한 수치가 나와 1~2주 정도 추이를 지켜봐야 하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해외유입은 증가하고 있어 BA.5 점유율은 계속 증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유럽과 미국에서 우세종이 된 BA.5는 면역 회피성이 좋고 전파력이 강하다는 게 특징이다. 이미 미국에선 BA.5가 전체 감염의 70% 가까이 차지하고 있다. 미국 NBC뉴스는 "4개 주를 제외하고 모든 주에서 코로나 관련 입원이 증가했다. 특히 남부에서 가장 크게 늘었다"고 보도했다.
 

진료소 운영 준비하는 관계자 [사진=연합뉴스]

BA.5가 강한 전파력을 가지는 이유는 스파이크 단백질 변형 때문이다. 스파이크 단백질은 코로나바이러스가 인체 세포에 침투할 때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요소다. 이곳에 변화가 생기면 전파력과 사망률에 큰 영향을 끼친다. 실제로 BA.5의 전파력은 역사상 전염성이 가장 강했던 홍역과 비슷한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영국 가디언 등 일부 외신에 따르면 BA.5 감염재생산지수(R)는 18.6 수준이다. 즉 확진자 1명이 약 18명을 감염시킨다는 의미다. 앞서 델타 변이의 R값은 5.1, 오미크론 변이는 9.5였으며 전염성이 높은 홍역이 18 정도다.

그렇다면 백신 접종자나 이미 코로나에 감염됐던 이들도 BA.5에 재감염될 수 있을까. 월스트리트저널(WSJ)은 "(BA.5의 경우) 스파이크 단백질 변화로 면역 방어를 우회하는 능력이 강화됐다"고 설명했다. 이전 백신 접종이나 감염 유무와는 상관없이 BA.5에 재감염될 수 있단 뜻이다. WSJ는 "코로나 초기 변종을 표적 삼아 설계된 기존 백신은 오미크론에 덜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며 "일부 연구에서도 BA.5에 대한 감염 예방 효과도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전했다.

스탠퍼드 대학의 한 전염병 전문가도 NBC뉴스에 "지난해 겨울에 감염됐더라도 새로운 변종에 감염돼 고통받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길게 줄 선 코로나19 선별진료소 [서울=연합뉴스]

다만 백신이 BA.5에 대한 감염 예방 효과는 낮더라도 중증 사망 예방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인터마운틴 헬스케어 연구팀은 "백신이 BA.5가 유발하는 심각한 합병증 위험을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앤서니 파우치 백악관 수석 의료고문은 "BA.5가 강한 전파력을 가졌지만, 심각한 질병과 사망을 유발할 만큼 큰 위험으로 보이진 않는다"고 평가했다.

한편 우리나라의 경우 BA.5 재유행 뇌관은 20대가 될 것으로 보인다. 거리두기 해제 이후 사회활동이 활발한 젊은층을 중심으로 확진자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 7월 첫주 확진자를 연령별로 비교했을 때 20대(21.0%) 비중이 크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20대 3차 접종률(59.6%)은 낮아 젊은층 확진자가 더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그래픽=아주경제 D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