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환율 전쟁] 역대급 고환율에 韓 외환보유고 비상... 8개월새 300억 달러 '뚝'

2022-07-06 07:00
6월 말 외환보유액 전월비 94억3000만 달러 감소
글로벌 금융위기급 감소 폭... 원화값 방어 여파

올해 들어 원·달러 환율이 급등해 외환당국(기획재정부·한국은행)이 개입에 나서면서 한국의 외환보유액이 8개월 사이에 300억 달러(약 38조9900억원) 이상 줄었다. 한국은행은 외환시장 안정을 위해 올해 1분기에만 80억 달러 이상을 매도했다. 2분기에는 원·달러 환율이 1300원에 육박해 더 많은 외환보유액이 투입된 것으로 분석된다. 외환보유액은 외환시장 안정화를 위해 정부와 한국은행이 쌓아놓는 대외 지급준비자산으로, 국가신인도를 나타낸다.

올해 하반기에도 미국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올리는 통화 긴축 기조를 유지할 전망이어서 달러 가치가 정점에 오를 것이란 분석이 나오고 있다. 달러 가치가 홀로 급등하면 다른 국가는 물가 상승, 자본 유출, 무역량 감소 등을 겪을 수 있다. 이에 기준금리 인상으로 자국 통화 가치를 올리는 ‘역환율전쟁’에 나서는 국가들이 늘어나고 있다.
 

5일 오후 서울 여의도 KB국민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주요 지표가 표시돼 있다. [사진=KB국민은행]

韓 외환보유고, 금융위기 수준 감소세... 당국 “환율 안정화에 사용”
6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6월 말 한국의 외환보유액은 전월 대비 9.43%(94억3000만 달러) 줄어든 4382억8000만 달러(약 569조7200억원)를 기록했다. 이같은 감소 폭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인 2008년 11월에 전월 대비 117억5000만 달러(약 15조2700억원)가 줄어든 이후 13년 7개월 만에 가장 크다.

작년 10월 말 외환보유액은 4692억1000만 달러(약 609조원)로 역대 가장 높았으나, 약 8개월 사이에 309억 달러(약 40조1600억원) 줄었다. 외환보유액은 올해 들어 급격히 줄어들기 시작했다. 3월 말엔 전월 대비 3.96%, 4월 말에는 전월 대비 8.51%나 감소했다. 외환보유액은 정부나 한국은행이 외환시장 안정을 위해 사용할 수 있도록 비축해두는 대외 지급준비자산이다. 국제수지 불균형을 정상화하거나, 환율을 안정시키는 데 주로 사용된다. 외환보유액 규모는 국가신인도를 나타내기도 한다. 5월 말 기준 한국의 외환보유고 순위는 세계 9위다.

한국은행은 “외환보유액을 많이 갖고 있다는 것은 그만큼 국가의 지급능력이 충실하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또한 국가신인도를 높여 민간기업, 금융기관의 해외 자본조달 비용을 낮추고 외국인투자를 촉진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1300원까지 오른 원·달러 환율, 수입 물가 상승 부추겨
최근 외환보유고가 급속도로 줄어든 건 치솟은 원·달러 환율 때문이다. 올해 2월 시작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전쟁,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인상 여파로 경기 침체가 우려되자 안전자산으로 인식되는 달러가 초강세를 보이기 시작했다. 원·달러 환율은 지난 5월 1290원대까지 올랐고, 지난달 23일 13년 만에 1300원(종가 기준 1301.8원)을 돌파했다. 이는 2008~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수준의 고환율이다. 전날도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종가 대비 3.2원 오른 1300.3원에 마감했다.
 
한국은행 분석에 따르면, 원·달러 환율 변동률은 지난해 4분기에 6.0%였으나, 올해 1분기에 8.1%, 4~5월 중 11.7%로 상승 폭이 커졌다.
 
이에 외환당국은 달러를 매도하는 방식으로 환율을 안정시키고 있다. 한국은행은 올해 1분기에 외환시장 안정화를 위해 83억1100만 달러(약 10조8000억원)를 순매도했다.

올해 하반기까지 미 연준의 긴축이 계속되면서 달러도 당분간 강세를 보일 전망이 나온다. 다만 오는 3분기 중 달러 가치가 정점에 오르면 원화값이 점차 안정화될 것이란 관측도 제기된다.

전규연 하나금융투자 이코노미스트는 “오는 9월 FOMC(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 전후로 물가의 피크아웃(정점에 오른 후 감소)과 미국 경기 둔화가 가시화되면서 미 연준의 금리 인상 속도가 다소 완만해질 것으로 보고 있다”며 “이에 미 달러의 추세 전환 시점도 9월 근방이 될 것으로 예상하며, 원·달러 환율은 3분기까지 높은 수준을 유지한 이후 9월 이후 점진적으로 하락하는 흐름을 예상한다”고 밝혔다.
 

5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위변조대응센터에서 직원이 달러를 정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세계 각국, 자국 통화 가치 올리기 '안간힘'
일반적으로 원·달러 환율 상승은 수출 의존도가 높은 한국 기업에 호재였다. 원화 가치가 떨어지면 수출품의 가격 경쟁력이 올라 수출이 늘어면서 무역수지 흑자 폭이 커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올해 전 세계적으로 경기 둔화가 예상되면서 수출은 크게 늘지 않았고,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 중국 도시 봉쇄로 원자재와 식품 가격이 급격히 올라 국내 물가는 급등했다. 이 같은 상황에서 달러 가치가 크게 올라(원·달러 환율 상승) 국내 물가 상승을 더 부추기고 있다.
 
최근 달러 강세는 다른 국가의 통화 가치를 떨어뜨리고 있다.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달러 강세 여파로 6월 말 신흥국 통화 가치는 연초 대비 5% 이상 하락했다. 라오스의 통화 가치가 25.5%로 가장 많이 하락했고, 터키는 21.4%, 아르헨티나 17.7%, 이집트는 16.4% 하락했다.
 
달러 강세는 타국에 무역 감소와 물가 상승 압력, 자본유출 확대, 외채부담 가중 등을 유발한다. 국제통화기금(IMF)은 달러가 다른 국가 통화와 비교해 가치가 1.0% 상승하면, 다른 국가들 간의 교역량은 연간 0.6% 줄어든다고 분석했다. 달러 강세가 지속되면 신흥국은 경제 성장과 금융 안정에 타격을 입을 수 있고, 나아가 경제는 성장하지 않는데 물가는 오르는 ‘스태그플레이션’에 빠질 수 있다.
 

[그래픽=김효곤 기자]

국제금융센터는 “달러 강세로 인해 취약 신흥국의 스태그플레이션 가능성, 부채 위험이 점차 확대되고 있어 신흥국 불안 가능성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주요 국가도 기준금리를 올려 통화 가치를 올리는 ‘역환율 전쟁’에 나서고 있다. 멕시코 중앙은행은 지난달 사상 처음으로 0.75%포인트를 한 번에 올렸다. 현재 멕시코의 기준금리는 7.75%다. 아르헨티나 또한 지난달 기준금리를 49%에서 52%로 3%포인트 인상했다. 이외에도 인도와 파키스탄, 필리핀 등의 중앙은행도 최근 기준금리를 인상했다.
 
블룸버그통신은 “각국이 자국 화폐 가치를 높여 수입 상품 가격을 낮추고 있는데, 경제 성장보다 인플레이션을 길들이려는 움직임”이라며 “미 연준이 30년 만에 가장 공격적인 금리 인상을 추진하는 것에 대해 전 세계 통화와 중앙은행이 도전장을 내밀고 있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