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 '+알파'로 중소 알뜰폰 성장 이끈다…MZ세대 '찐팬' 확보
2022-06-21 16:30
알뜰폰에 진심인 LG유플러스…"고객이 가장 좋아하는 회사로 1위 할 것"
고객·경쟁력·소통 '3C 상생 방안' 발표…구독형 요금제부터 가상 세계관까지
고객·경쟁력·소통 '3C 상생 방안' 발표…구독형 요금제부터 가상 세계관까지
LG유플러스는 21일 간담회를 열고 자사 망을 이용하는 알뜰폰과의 공동 파트너십 프로그램 'U+알뜰폰 파트너스'의 브랜드 '+알파'를 공개했다. 아울러 고객 서비스(Customer), 사업 경쟁력(Competitiveness), 소통(Communication) 등 '3C 상생 방안'도 발표했다.
+알파는 'U+알뜰폰 파트너스'의 줄임말이자 상생 이상의 고객 가치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겠다는 의미를 담았다. 일회성 이벤트에 그치지 않고, 브랜드를 통해 체계적으로 중소 알뜰폰 성장을 뒷받침하겠다는 설명이다.
LG유플러스는 지난 2019년 알뜰폰 활성화를 위한 중소 사업자 상생 프로그램 'U+알뜰폰 파트너스 1.0'을 출범하고, 지난해 혜택과 협력을 강화한 'U+알뜰폰 파트너스 2.0'을 선보인 바 있다.
LG유플러스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자회사(LG헬로비전·미디어로그)를 제외한 비계열 중소 U+알뜰폰 사업자는 2년간 크게 성장했다. 누적 모바일 가입자는 2020년 1분기 56만명 대비 2022년 1분기 89만명으로 159%, 같은 기간 월평균 신규 가입자는 4만2000명에서 7만5000명으로 179% 늘었다.
고객 서비스 부문에서는 △2년 이상 고객 대상 장기 고객 케어 프로그램 신설 △LG유플러스 매장에서 고객 서비스(CS) 지원 △알뜰폰 전문 컨설팅 매장 확대에 나선다.
1800여개 오프라인 LG유플러스 매장에서 알뜰폰 CS 업무를 제공하고, 알뜰폰 전문 컨설팅 매장 '알뜰폰+' 2호점을 연내 수도권에 선보인다. 추후 전국으로 확대도 검토 중이다. 유호성 LG유플러스 MVNO사업담당은 "부산, 안산 등도 고려하고 있고 알뜰폰을 알릴 수 있는 기회라면 어디든지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중소 알뜰폰의 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구독형 제휴 요금제 출시 △공용유심 유통 확대 △셀프개통 확대 △저렴한 가격에 유심 공급 등 지원책도 내놨다.
카카오모빌리티, SPC와 연계한 알뜰폰 전용 구독형 제휴 요금제를 출시했다. 향후 금융, 쇼핑, 간편결제 등으로 제휴 요금제 라인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환경, 헌혈과 연계한 환경·사회·투명 경영(ESG) 요금제도 선보일 예정이다. 앞서 LG유플러스는 월 기본료 10%가 자동 적립돼 고객 명의로 기부되는 '희망풍차' 요금제를 선보인 바 있다. 당시 가입자 50%가 2030세대일 만큼 MZ세대에게 높은 관심을 받았다.
최근 알뜰폰 가입자 증가세를 이끄는 MZ세대와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알파'의 가치관을 담은 세계관 '알파텔레콤' 스토리 론칭 △이마트24와 컬래버레이션 스낵 '원칩' 출시 등에 나선다.
LG유플러스의 자체 분석 결과에 따르면 U+알뜰폰 MZ세대 가입자 비중은 2019년 35%에서 올해 42%로 점차 증가하는 추세다. 절반 가까이가 MZ세대인 것이다.
MZ세대에게 친숙한 가상 세계관으로 알뜰폰 마케팅에 힘을 준다. 건물주 '에이든'이 서울 청담동에 알뜰폰 매장을 오픈하고 운영하는 '알파텔레콤' 스토리를 전개한다. 또한 U+알뜰폰 공용 유심의 이름 '원칩'에서 차용한 컬래버레이션 스낵 '원칩'을 이마트24에서 판매한다.
박준동 LG유플러스 컨슈머서비스 그룹장은 "숫자보다는 고객이 가장 좋아하는 회사로 1위를 하고 싶다"며 "MNO, MVNO 모두 고객을 '찐팬(진짜 팬)'으로 삼는 사업자가 되도록 노력하겠다. MZ세대의 소통방식으로 '+알파' 브랜드를 알리고 중소사업자의 브랜드 열위를 극복하겠다"고 말했다.
5G 중간요금제 도입과 이통 3사 자회사 알뜰폰 시장 점유율 규제 등 현안에 대한 질의도 나왔다.
박 그룹장은 "알뜰폰은 아직 LTE 위주로 성장하고 있고, 5G 중간요금제 수준까지 가지 못했다"며 "5G 중간요금제가 나오면 내년 이후 차차 고민하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자회사 시장 점유율 규제에 대해서는 "과거 공정위도 LG헬로비전 인수 시 MNO와 MVNO 시장을 동일하게 봤다"며 "알뜰폰 시장을 인위적으로 구분해 점유율 규제를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고, 시장 활성화를 저해할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