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선 후보에게 듣는다] 유정복 "다국적 기업 품을 '뉴 홍콩시티' 통해 '제물포 르네상스' 시대 열 것"

2022-05-24 00:00
"인천, 홍콩을 대체할 수 있는 적지의 도시…다국적 기업 유치할 것"
"인천 발전 위해선 '지역 균형 발전' 필수적…원도심 발전시키겠다"

유정복 국민의힘 인천시장 후보는 지난 20일 인천시 미추홀구에 위치한 '유정복 캠프' 사무실에서 본지와 인터뷰하면서 "'제물포 르네상스' 시대를 열겠다"고 강조했다. [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유정복 국민의힘 인천시장 후보는 '뉴 홍콩시티'를 통해 '제물포 르네상스' 시대를 열겠다고 했다. 제물포 르네상스는 182만㎡에 달하는 인천 내항 소유권을 인천으로 이관해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하겠다는 구상이다. 유 후보는 영종, 강화, 송도, 청라에 이어 내항까지 잇는 '뉴 홍콩시티'를 만들어 다국적 기업을 유치하겠다는 구상도 함께 제시했다. 

유 후보는 지난 20일 인천시 미추홀구에 위치한 '유정복 캠프' 사무실에서 본지와 인터뷰하면서 "원도심 개발의 상징성인 옛날 인천 내항을 중심으로 개발 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꾸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유 후보는 홍콩이 중국에 반환된 이후 다국적 기업의 이탈이 가속화됐다고 주장했다. 이에 미국은 홍콩을 대체할 만한 동아시아 지역을 찾고 있다고 했다. 다음은 유 후보와 일문일답한 내용.

-홍콩을 대체할 도시로 인천을 꼽았다. 그 중심엔 제물포 르네상스가 있는데, 구체적 플랜을 가지고 있나.

"인천에는 세계적인 국제공항과 항만이 있다. 그뿐만이 아니다. 경제자유구역도 있지 않나. 영종과 강화를 중심으로 인천 발전을 위한 실질적인 동력을 마련할 수 있다. 특히 원도심은 '제물포 르네상스' 같은 획기적인 정책을 통해 활성화하고 미추홀구, 남동구, 서구까지 원도심을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을 혁신적으로 만들겠다."

-제물포 르네상스 시대의 마지막 관문은 역시 '예산'과 '법적' 뒷받침인데.

"제도적인 틀을 마련하기 위해선 결국 예산이 뒷받침돼야 한다. 그래서 나온 아이디어가 5조원 규모 특별회계 기금 조성이다. 이를 통해 시민 행복도시를 만드는 데 기여할 것이다."

-6·1 지방선거가 얼마 남지 않았다. 막판 변수도 역시 부동산을 비롯한 경제가 될 것으로 보이는데.

"윤석열 대통령은 전임 대통령과 달리 부동산 정책에 대원칙이 있다. 핵심은 '시장경제 논리에서 어떻게 수요공급을 적절히 맞추느냐'다. 그러기 위해선 정확한 예측이 필요하다. 그다음에 경제 상황이 어떠냐를 보고 부동산 정책을 만들어야 한다. 문재인 정권에서는 무조건 '우리 정부에서는 부동산 문제는 없다' 이렇게 못을 박고 거기에 (정책을) 맞추려다 보니까 현실을 따라가지 못했다."

-부동산 공약 내용이 용적률 조정 등 '규제 완화'에 초점이 맞춰졌다. 구체적으로 어느 정도 조정하려고 하나.

"법률적인 문제라든지, 주변 지역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상황이 되면 용적률을 상향 조정하는 것이 경제성을 확보하는 길이다. 이를 통해 주변에 편의시설과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는 규정을 맞추되 용적률을 높여 나가는 방향으로 정책을 짤 것이다."

-청년과 신혼부부 대상 주택 공급분도 30%에서 40%까지 확대하겠다고 했는데. 

"청년 주택 문제도 굉장히 중요한 문제다. 공공개발 부분에 대해선 과감하게 청년들에게 특별 분양을 주고 우선 배정해야 한다. 청년 주택 문제를 해결하는 제도적인 장치를 두겠다. 정책이 바뀌면 행정기관도 변한다. 강제할 수는 없지만 유도할 수 있다."

-복지 정책으로 '인천 맘 센터'를 건립하겠다고 했다. 구체적인 로드맵은.

"궁극적 지향점은 '시민이 행복한 사회'다. 시민 행복은 결국 불편함이 적은 사회다. 우리 사회의 불편함을 종합적으로 안고 있는 계층은 '엄마'다. 출산 문제부터 보육·양육·교육, 경제적 문제 등 중심엔 우리네 어머니들이 있지 않나. 어떻게 보면 (우리 사회의) 가장 중심권에 계신 분들이다. '엄마가 행복한 사회를 만들겠다'는 슬로건에는 아이들 문제부터 경제적인 문제까지 해결하겠다는 뜻을 담고 있다. 출산 정책부터 시작해 출산장려금을 현행 200만원에서 1000만원으로 늘릴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