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아태금융포럼] 우크라·팬더믹 등 글로벌 위기, 동아시아 주도로 돌파해야
2022-03-16 14:22
"서방 국가들이 러시아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고 러시아-우크라이나의 갈등이 계속된다면 글로벌 공급망과 산업 사슬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며 이는 전 세계의 경제 성장세도 지연시킬 것이다."
볜융쭈 칭화대학교 전략 및 안전연구센터 교수는 최근 글로벌 경제를 위기로 몰고 있는 우크라이나 전쟁 상황에 대해 유화적인 정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 과정에서 동아시아 국가가 연대를 통해 큰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게 볜 교수의 주장이다.
볜 교수는 최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언급한 '대변국'은 동아시아 경제 세력의 전반적인 부상이라고 설명했다. 볜 교수는 "동아시아와 유럽 그리고 북미 중 동아시아의 경제 규모가 가장 크다"며 "국가 간 경제 협력의 규모나 협력 의지의 측면에서 봤을 때 동아시아의 경제는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고 말했다.
코로나19도 여전히 위기다. 볜 교수는 "현재 전 세계의 팬데믹 상황을 보면 여전히 줄어드는 상태가 아니라 아직도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며 "일일 감염자 수는 여전히 증가 추세이기 때문에 단기적으로 봤을 때 세계 경제가 완전히 회복되기는 아직 매우 어렵다"고 경고했다.
볜 교수는 이런 상황을 돌파하기 위해 대변국 시대를 맞이한 동아시아 각국의 역할을 강조했다.
이어 주요국들의 협력 강화 중요성을 강조했다. 볜 교수는 "현재 글로벌 산업 사슬 및 공급망은 완전히 회복되지 않았다"며 "만약 국가 간의 무역마찰이 많아지면 필연적으로 기업의 생산과 경영에 큰 문제가 생길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최근 동아시아 국가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경제 협력을 강화하고 협력 의지가 매우 강한 것을 알 수 있다"며 "이것이 바로 동아시아 경제의 활력소라고 생각하며 전세계 경제도 하나의 큰 경제체라고 생각하고 각 국가 간의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셋째로는 동아시아 국가들이 경제 협력의 범위를 더 넓게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볜 교수는 "서방 국가에 비해 동아시아 경제의 성장세와 전망은 더욱 크고 잠재력도 커질 것"이라며 "중국이나 한국 일본 그리고 아세안 10개국 등 이 나라들의 국가 간 협력의 범위가 넓어서 글로벌 구도의 변화라는 큰 맥락에서 동아시아 국가들은 더욱 단결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세계 경제가 당면한 불확실성과 직면하고 있는 일부 경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기도 동아시아 경제체가 단결하고 협력해 이러한 도전에 대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