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년 전 유행이 다시…스트리트형 상가의 화려한 부활

2022-02-07 06:00
쇼핑몰과 유사 형태…쇼핑·외식·여가 원스톱으로

 

최근 아파트 내 상가가 대로변을 따라 점포가 배치되는 스트리트형으로 돌아오고 있다. 

저층상가가 거리에 일렬로 늘어선 스트리트형 설계는 1980년대 인기를 끌던 상가 형태다. 2000년대 들어 쇼핑몰처럼 설계가 고급스러워지고, 다양한 업종이 들어서는 등 한층 진화해 단지 내 상가의 대표적 형태로 자리 잡았다.

특히 세련된 외관으로 도시 미관을 개선하고 야간 보행환경에도 도움을 줘 도시계획에서도 중요시되는 분위기다.

1980년대 입주한 아파트만 해도 단지별로 스트리트형과 박스형 상가가 혼재했다. 업계 관계자는 "당시 아파트들은 허허벌판에 짓다 보니 상가는 아파트 입주민 전용 공간이라는 인식이 있었고, 단순히 입주민들이 이용하기 쉬운 곳에 짓는 것이 목적이라 도시계획적 의미를 찾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예컨대 서울 압구정 현대아파트는 압구정로를 따라 아파트 내 상업시설이 수백 미터 펼쳐져 있다. 아파트 규모가 크다 보니 일부 상가는 아파트 안을 가로질러 일자로 뻗어 있어 입주민 다수가 이용하기 편한 형태로 설계됐다. 

반포주공 1단지는 신반포로를 따라 상가가 밀집해 있고, 용산 한강맨션 아파트도 이촌로 옆으로 상가가 길게 늘어서 있다.

박스형도 흔하다. 대치 은아아파트는 주출입구 쪽 3층 규모의 종합 상가가 유일하다. 목동 신시가지, 상계 주공아파트들도 대부분 중심부나 입구 부근 단독 건물에 편의시설이 몰려 있다.

눈에 띄는 것은 1990년대 들어 스트리트형 상가가 자취를 감추고 박스형 상가가 대세가 됐다는 점이다. 백화점, 대형마트 등이 속속 들어서면서 아파트 내 상권의 중요성이 줄어든 것이 이유로 꼽힌다. 

1990년대 입주한 일산, 분당 등 1기 신도시도 마찬가지다. 길가를 따라 상가가 배치된 형태가 아니라 아니라 아파트 내 별도로 상가 건물이 존재한다.

건설사 관계자는 "1990년대 입주한 아파트는 상가를 단독으로 구성하는 것이 유행이었다"며 "자동차가 보편화되면서 걸어서 쇼핑을 하는 스트리트형보다는 한 곳에 상가가 몰린 것이 더 효율적이라는 인식도 있었다"고 말했다.

스트리트형 상가는 2000년대 들어 화려하게 부활했다. 도시계획 차원에서 대로를 조성하고, 이곳에 상가를 배치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인식이 자리 잡으면서다. 외부 사람을 상가로 끌어들일 수 있어 상권 형성에도 유리하다. 

특히 1980년대 스트리트형 상가와 달리 쇼핑은 물론 외식과 문화체험 등 다양한 활동을 한자리에서 원스톱으로 즐길 수 있는 현대적인 몰(MALL) 형태로 진화했다. 유럽풍의 고급스러운 설계도 스트리트형 인기에 힘을 보탰다.

스트리트형 상가 설계는 서울 내 뉴타운이 주도했다. 2009년 입주를 시작한 은평뉴타운은 지구를 관통하는 진관로를 통해 상가가 스트리트형으로 설계됐다. 

2014년 입주를 시작한 왕십리 뉴타운도 대로를 따라 상가가 'ㄴ'자 형태로 설계돼 있다. 위례신도시도 '트랜짓몰'로 불리는 스트리트형 상가가 주목을 끌었다.

이후 최근까지 입주한 개별 단지 대부분에는 스트리트형 구조가 적용됐다. 부동산인포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에서 입주한 500가구 이상 아파트 단지 18곳 중 15곳이 스트리트형 구조인 것으로 나타났다.

분양 시장에도 스트리트형 인기가 두드러진다. 최근 완판된 인천 '스타오씨엘 에비뉴Ⅰ', '내포신도시 반도유보라 마크에디션' 등은 스트리트형 구조로 관심을 끌었다. 2월 서울 강북구에 분양 예정인 '한화 포레나 미아 스퀘어'도 삼양사거리 대로변 일대에 스트리트형으로 조성된다.

분양 홍보 관계자는 "대형 쇼핑몰에서 볼 수 있는 설계가 아파트 단지 내 상가에도 도입되면서 고급화되는 추세"라며 "보행환경이 쾌적해지고 새로운 상권이 형성되는 등 공적인 측면에도 기여하고 있어 스트리트형 상가 인기가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