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점 땐 10만명' 비상등 켜진 오미크론, 검출률 50% 돌파 "우세종 됐다"

2022-01-25 08:14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이 24일 오후 충북 청주시 질병관리청에서 코로나19 오미크론 점유율 및 추이, 변이 발생 현황 및 특성 분석 현황, 설 연휴 당부 사항 등에 대해 발표를 마친 뒤 취재진의 질문을 받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대유행의 비상등이 켜졌다. 국내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 감염자의 주간 검출률이 처음으로 50%를 넘어서며 '우세종'이 됐다. 일평균 7000명 확진 시 동네 병·의원 의료기관 중심의 오미크론 '대응단계' 전환 시행을 예고한 정부는 우선 유행이 극심한 일부 지역만 먼저 시행하고 전국적인 전환은 유행 추이를 지켜본 뒤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방역당국이 오미크론발 대확산으로 다음 달 말 최대 3만명까지 확진자가 나올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놨지만 일각에서는 10만명까지 늘어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24일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7513명 발생해 사흘 연속 7000명대를 기록했다. 일주일 전인 지난 17일(3857명)에 비해 두 배 가까이 급증한 셈이다. 전파력이 기존 델타 변이보다 2~4배 높은 오미크론 변이의 확산이 확진자 급증 원인으로 분석됐다. 

지난 16~22일 일주일간 국내에서 오미크론 변이 감염자가 4830명 확인됐으며 누적 감염자는 9860명으로 늘었다. 직전 주(9~15일)에 확인된 2679명과 비교해 신규 감염자는 1.8배 증가한 셈이다. 

오미크론 감염자가 급증하면서 결국 오미크론 변이가 국내 코로나19 바이러스 우세종이 됐다. 중대본에 따르면 지난주(17~23일) 국내 오미크론 검출률은 50.3%로, 우세종 기준이 되는 50%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권역별 검출률을 보면 호남권이 82.3%로 가장 높다. 이어 경북권 69.6%, 강원권 59.1% 순이다. 전문가들은 오미크론 변이 확산이 빨라지면서 다음 달 신규 확진자가 많게는 10만명까지 폭증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정재훈 가천대길병원 예방의학과 교수는 "오미크론 변이에 대해 2월 말 2만명 이상 확진자가 나온다는 예측을 저희 연구팀이 3주 전에 발표했으나 그사이 상황이 많이 달라졌다"며 "방역에 특별한 조정이 없다면 최대 정점은 10만명 이상이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정부는 오미크론 대응단계로 전환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우선은 오미크론이 우세화한 광주, 전남, 평택, 안성 등 4개 지역에서 26일부터 오미크론 대응단계를 시행하고, 국민 수용성과 추이를 지켜본 뒤 전국 확대를 결정할 예정이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오미크론 대응단계 전국 전환에 대해 검토하고 있다"며 "7000명 선에서 변경하는 것을 염두에 두고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현재 의료체계로는 델타 변이 기준 하루 1만3000∼1만4000명의 중환자를 감당할 수 있는데, 오미크론은 입원률이 더 떨어지기에 그(델타)보다 여력이 클 것"이라며 "최대한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는 하지 않는 방향으로 방역정책을 운영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고위험군 위주의 PCR(유전자증폭) 검사 등 오미크론 대응 방역체계 전환도 이르면 이달 말 전국으로 확대된다. 정은경 방대본 본부장(질병관리청장)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진단검사 체계와 관련해 크게 두 가지 개편을 진행 중"이라며 "60세 이상 고령층 등 우선검사 대상자가 아닌 이들이 검사받을 수 있는 별도의 체계를 구축하고, 동네 의료기관에서 진료를 받을 때 추가로 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준비 중"이라고 말했다.

정 본부장은 "일부 지역에서는 26일부터 이러한 체계 전환을 적용할 예정이며, 전국적으로는 이르면 1월 말에서 2월 초까지 확대 시행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방역당국은 오미크론 감염자 치명률이 0.16%로 델타 변이의 5분의 1 수준이라고 밝혔다. 방역당국은 오미크론 변이 유행으로 고위험군 확진자가 급증하면 위중증으로 이어질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60세 이상 고위험군 등에서 위중증 환자가 늘어나면 사망자 규모도 증가할 가능성이 크다.

방대본은 "오미크론 변이는 중증화율이 낮지만 높은 전파력으로 단기간에 대규모 유행 발생 시 방역·의료 대응에 심각한 부담이 될 수 있어 개인 중증도는 낮지만 사회적 피해 규모는 증가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며 "고령층과 감염 취약시설에 전파되면 중환자 발생 규모도 동반 상승할 수 있어 감염 억제와 고위험군 우선 보호는 지속해서 필요하다"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