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코 사장 공백 한달 반…후임 누가 될까

2021-12-13 18:00
기재부 관료 출신 유력

[제공=캠코]

 
캠코(한국자산관리공사) 사장 공백이 한 달 반을 지나가는 가운데 후임에 누가 임명될지 관심이 쏠린다.

13일 캠코에 따르면 문성유 사장이 퇴임한 이후 구성된 임원추천위원회(임추위)가 지난달 25일 사장 공모를 마감했다. 그러나 정권 말에 적합한 인사를 찾기 어려워 후임 인선이 늦어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캠코 안팎에선 사장 공백 장기화로 경영 차질이 우려돼 후임 인선이 늦춰져서는 안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캠코는 2020년 매출이 전년 대비 9% 감소한 5454억2000만원을 기록했으며,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30% 줄어든 516억5000만원으로 실적이 개선이 필요하다.

또 올해 10월 발표한 중장기 재무관리 계획에 따른 향후 5년간 6조7000억원(연평균 1조3000억원)규모의 투자 집행에 사장 공백은 차질을 불러올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캠코 내부 사정에 정통한 관계자는 “후임 사장 인선과 관련한 일정·절차는 현재 진행 중으로, 후보군이 추려지면 탄력을 받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캠코 사장은 임원추천위원회에서 공모 후보군 중 복수 후보를 추천하고 주주총회 의결을 거쳐 금융위원장에 후보를 추천한다. 그러면 금융위원장이 제청해 대통령이 임명한다.

캠코는 비상임이사들로 임추위를 구성해 후임 인선에 나섰으나 금융위원회나 기획재정부의 영향권에서 완전히 자유로울 수 없다는 게 대체적인 분석이다. 캠코는 금융위가 주무 부처면서, 국유재산을 관리·감독하는 기재부 영향권에도 속해있다. 

이 같은 배경으로 지금까지 캠코 사장은 금융위, 기재부 출신 관료 선임이 관행처럼 굳어져 왔다. 실제로 임추위가 구성돼 공모절차가 진행된 전임 홍영만(전 금융위 상임위원), 문창용(전 기재부 세제실장), 문성유(전 기재부 기조실장) 사장들도 모두 관료 출신이었다. 신임 사장 후보로 기재부 출신 선임설이 흘러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준정부기관인 캠코 사장 인선에서 정부 입김을 피하기는 쉽지 않다. 금융권 관계자는 “캠코가 국가자산 종합관리 기관으로 성장했지만, 준정부기관이다 보니 금융위, 기재부 출신 인사들이 많이 왔다”면서 “전문성에 바탕을 둔 인사로 관련 경력이 없는 인사가 오는 것은 막아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