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 고용 잡으려다 인플레 놓칠 것"… 금리인상폭은 '제한적' 전망
2021-11-22 15:09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긴축이 가시화하는 가운데, 중앙은행의 금리인상 폭이 제한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코로나19 이후 경제회복이 본격화하더라도 이미 대규모로 커진 부채 때문에 금리인상 여정이 쉽지는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고용안정 속도보다 인플레 빠를 것
블룸버그는 "오는 2월 새로운 연준 의장 자리에 누가 앉게 되든지 상관 없이, 연준 앞에 놓인 길은 위험하다"고 지적했다. 일단 1990년대 이후 가장 가파른 물가상승세와 소비자들 사이에서 뿌리내리고 있는 인플레이션 심리는 단기간에 물가상승세가 사라질 수 있을 것이라는 중앙은행의 전망에 먹구름을 드리우고 있다. 때문에 예상보다 빨른 속도의 긴축이 발생할 수 있다는 주장이 연이어 나온다.
2022년 기준금리가 올라갈 것으로 보는 전망이 점차 늘고 있는 가운데, 골드만삭스, JP 모건 등의 글로벌 금융기관들은 빠르면 내년 7월 금리가 인상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제롬 파월 의장을 비롯해 연준 구성원 대부분은 고용이 예전과 같은 상태로 회복될 때까지 초저금리를 유지하는 것이 옳다는 입장을 보였다.
그러나 고용증가 속도보다 인플레이션이 더욱 빠를 경우에 경제는 큰 타격을 입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블룸버그는 "인플레이션이 지속되도록 방치할 경우 나중에는 더욱 갑작스러운 금리인상으로 고용 호조의 효과를 갉아먹을 수도 있을 것이다"라고 보았다.
그랜트 손턴 LLP의 다이앤 스웡크 수석이코노미스트는 "연준은 광범위한 완전고용에 도달하기 전에 인플레이션이 고착화할 위험을 막아야 한다는 어려운 과제에 직면했다"고 지적했다.
때문에 차기 연준의장이 누가 되든 간에 인플레이션과의 전쟁은 여전히 연준의 가장 큰 과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파월 의장에 비해 오히려 더 비둘기파로 분류되는 라엘 브레이너드는 공급망 문제가 해결되면서 인플레이션이 해소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고용 시장은 견실해보이지만, 여성 등 일부 계층의 실업률은 여전히 회복이 비교적 더딘 모습을 보이고 있다. 코로나19 이전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면, 고용의 완전한 회복까지는 수개월이 더 걸릴 것이라는 진단이 나온다. 그 사이 빠르게 오르는 물가는 소비자들의 심리에 더 깊이 침투할 수 있다.
다만 연준이 자산매입규모를 줄인 뒤 본격적으로 금리인상에 들어가더라도 한계는 있을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니혼게이자이(닛케이) 신문은 최근 뉴스 분석을 통해 "역사적인 거대 채무를 안은 세계 경제는 금리상승에 매우 취약하다"고 지적했다.
기준금리를 올리면서 이른바 금융정상화에 들어갈 경우 시장 경제도 큰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이다. 때문에 내년 금리인상이 가시화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 10년물 국채 수익률이 1.5% 대에서 움직이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시장은 연준이 금리인상을 다시 시작해도 5년간 최대 1.5%까지만 올리면서 중기적으로는 역사적 저금리 환경은 이어질 것이라고 니혼게이자이는 보았다. 무엇보다 미국 정부를 비롯해 기업, 가정 곳곳에서 채무가 엄청나게 늘었다. 정부와 민간 전체의 채무를 합산한 세계 전체의 채무는 296조 달러로 국내총생산(GDP) 대비 350%로 늘어났다. 때문에 매우 소폭의 금리인상에도 세계 경제는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높다.
니혼게이자이는 "세계 부채 규모가 부풀어 오르면서 연준의 '금리 인상 천장'은 떨어지고 있다"면서 "지난 2015년 말에 시작된 연준의 금리 인상 행보는 시장 혼란을 초래해 2018년에 도중 종료되기도 했다"고 지적했다.
신문은 이어 "저성장·저물가·저금리의 '3개의 저'는 최선이라고는 할 수 없지만, 세계 경기를 깨지 않고 오랫동안 균형해 왔지만 인플레이션이 장기화하면 이 균형이 무너지면서 세계 경제를 어렵게 만들 가능성이 높다"면서 "장기간 계속된 금융완화 정책이 현재의 과다 채무를 불러온 만큼 연준의 출구 전략은 더욱 짜기 힘들어진 상황이다"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