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 칼럼] 버릴 수 없는 시장, 일본…“민간경제 교류 지속돼야”
2021-11-23 08:28
유일한 한국공정여행업협회 협회장
2016년 10월경 업무차 일본 도쿄를 찾았을 때였다. 호텔 TV를 켜니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일거수일투족이 뉴스에서 다뤄지고 있었다. 당시 남북 간에도 별 이슈가 없어 무슨 일인가 의아했다. 현지에서 20년 이상 사업을 했던 지인에게 물었더니 "내부결속을 위해 외부에서 적을 찾는 것"이라며 대수롭지 않게 대답했다.
이후에 종종 일본에 갔을 때도 비슷한 일들이 반복됐다. 익숙해질 때쯤 2019년 반도체 부품을 중심으로 한 일본의 경제도발로 한·일 무역분쟁이 일었다. 당시 여행업계와 항공업계는 적지 않은 타격을 입었다.
이에 대한 반발로 국내에서 일본 불매운동이 이어졌다. 관련 업계의 수익은 수직으로 하강했다. 업체에 따라 많게는 전체 수익의 50%가량을 일본이 차지하기도 했으니 당연한 일이었다. 하지만 이에 대해 불만을 제기하는 이는 많지 않았다. 우리나라의 주요 먹거리 중 하나인 반도체 쉽게 말해 '밥그릇'을 건드렸으니 국민의 일원으로서 공감이 가는 일이었기 때문이다.
최근 일본이 또다시 우리나라 사람의 감정을 건드리는 발언을 했다. 기시다 후미오 정권 출범 이후 미국에서 처음 열린 한미일 3국 북핵 수석대표 회동에서 일본이 휴전상태인 한국전쟁의 종전을 선언하는 문제를 놓고 '아직 이르다'는 입장을 밝힌 것이다. 대외적인 이유로는 북한의 핵 개발과 일본인 납치 문제 해결을 들고 있다.
6·25 전쟁 등으로 큰 득을 본 일본으로서는 남북 간 긴장상태가 완화돼야 좋을 일이 없다. 게다가 일본 정치권에서는 여전히 남북한의 군사력 강화 경쟁을 헌법 개정의 주요 명분으로 삼고 있다. 일본 우익들은 자위대 명기 등 개헌을 통해 자국이 '전쟁이 가능한 보통 국가'가 되길 원하기 때문이다.
국민의 한 명으로서는 이 같은 일본의 행태가 밉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아쉬운 점도 많다. 중국의 사드보복, 일본의 경제도발, 코로나19 사태 등까지 지속적인 악재로 사실 여행·항공업계에는 마음의 여유가 없다. 함께 일하던 동료들은 업계를 떠나거나 아르바이트를 병행하며 겨우 버티고 있다.
이 와중에 최근 '도한(渡韓)놀이(한국 여행 흉내 내기)'로 대표되는 일본 민간의 한국에 대한 관심은 그 어느 때보다 많다. 각종 조사에서도 일본 고객이 코로나19 진정 후 가장 가고 싶어하는 나라의 첫째로도 한국이 많이 꼽힌다. 우리나라 사람들도 일본이 밉다고 하지만 여전히 현지여행은 세계 여러 국가 중 '톱5'에 든다. 피폐된 여행·항공업계가 정상화를 위해 일본은 요충지일 수밖에 없다는 뜻이다.
일본 정부도 코로나19로 닫았던 외국인의 자국 내 진입에 대한 빗장을 최근 서서히 열고 있다. 일본 정부는 그간 원칙적으로 신규 입국을 허용하지 않았던 유학생이나 기능실습생의 신규 입국 절차를 이달 8일부터 재개했다. 단체 관광객에 대한 출입국 규제도 조만간 풀릴 것이라는 예측이 많다.
여행·항공업계로서는 오랜만에 희소식이지만 종전선언을 놓고 다시 양국 관계가 더 악화될까 예의주시할 수밖에 없다. 다행히 청와대는 일본의 몽니에도 정상회담 등 대화창을 열어놓고 관계발전에 노력한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여행·항공업계도 우리 정부가 일본에 끌려다니길 원치 않는다. 일본의 잔꾀에 흔들리지 않고 지금처럼 중심을 잃지 않길 바란다. 다만 민간 차원의 관계 개선 노력도 지지해줬으면 한다. 여행·항공업계가 한·일 관계에서 원하는 것은 정치와 경제의 분리다. 일본의 경제 도발로 암묵적 약속이 깨졌으나 이제는 복원해야 할 때다.
이후에 종종 일본에 갔을 때도 비슷한 일들이 반복됐다. 익숙해질 때쯤 2019년 반도체 부품을 중심으로 한 일본의 경제도발로 한·일 무역분쟁이 일었다. 당시 여행업계와 항공업계는 적지 않은 타격을 입었다.
이에 대한 반발로 국내에서 일본 불매운동이 이어졌다. 관련 업계의 수익은 수직으로 하강했다. 업체에 따라 많게는 전체 수익의 50%가량을 일본이 차지하기도 했으니 당연한 일이었다. 하지만 이에 대해 불만을 제기하는 이는 많지 않았다. 우리나라의 주요 먹거리 중 하나인 반도체 쉽게 말해 '밥그릇'을 건드렸으니 국민의 일원으로서 공감이 가는 일이었기 때문이다.
최근 일본이 또다시 우리나라 사람의 감정을 건드리는 발언을 했다. 기시다 후미오 정권 출범 이후 미국에서 처음 열린 한미일 3국 북핵 수석대표 회동에서 일본이 휴전상태인 한국전쟁의 종전을 선언하는 문제를 놓고 '아직 이르다'는 입장을 밝힌 것이다. 대외적인 이유로는 북한의 핵 개발과 일본인 납치 문제 해결을 들고 있다.
6·25 전쟁 등으로 큰 득을 본 일본으로서는 남북 간 긴장상태가 완화돼야 좋을 일이 없다. 게다가 일본 정치권에서는 여전히 남북한의 군사력 강화 경쟁을 헌법 개정의 주요 명분으로 삼고 있다. 일본 우익들은 자위대 명기 등 개헌을 통해 자국이 '전쟁이 가능한 보통 국가'가 되길 원하기 때문이다.
국민의 한 명으로서는 이 같은 일본의 행태가 밉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아쉬운 점도 많다. 중국의 사드보복, 일본의 경제도발, 코로나19 사태 등까지 지속적인 악재로 사실 여행·항공업계에는 마음의 여유가 없다. 함께 일하던 동료들은 업계를 떠나거나 아르바이트를 병행하며 겨우 버티고 있다.
이 와중에 최근 '도한(渡韓)놀이(한국 여행 흉내 내기)'로 대표되는 일본 민간의 한국에 대한 관심은 그 어느 때보다 많다. 각종 조사에서도 일본 고객이 코로나19 진정 후 가장 가고 싶어하는 나라의 첫째로도 한국이 많이 꼽힌다. 우리나라 사람들도 일본이 밉다고 하지만 여전히 현지여행은 세계 여러 국가 중 '톱5'에 든다. 피폐된 여행·항공업계가 정상화를 위해 일본은 요충지일 수밖에 없다는 뜻이다.
일본 정부도 코로나19로 닫았던 외국인의 자국 내 진입에 대한 빗장을 최근 서서히 열고 있다. 일본 정부는 그간 원칙적으로 신규 입국을 허용하지 않았던 유학생이나 기능실습생의 신규 입국 절차를 이달 8일부터 재개했다. 단체 관광객에 대한 출입국 규제도 조만간 풀릴 것이라는 예측이 많다.
여행·항공업계로서는 오랜만에 희소식이지만 종전선언을 놓고 다시 양국 관계가 더 악화될까 예의주시할 수밖에 없다. 다행히 청와대는 일본의 몽니에도 정상회담 등 대화창을 열어놓고 관계발전에 노력한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여행·항공업계도 우리 정부가 일본에 끌려다니길 원치 않는다. 일본의 잔꾀에 흔들리지 않고 지금처럼 중심을 잃지 않길 바란다. 다만 민간 차원의 관계 개선 노력도 지지해줬으면 한다. 여행·항공업계가 한·일 관계에서 원하는 것은 정치와 경제의 분리다. 일본의 경제 도발로 암묵적 약속이 깨졌으나 이제는 복원해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