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금융연구소 "내년 금융권 자산성장 둔화…외형보다 내실경영 주력해야"

2021-10-21 11:34
2022년 금융산업전망 보고서 발간

[사진=자료사진]

코로나19 장기화로 계속되던 유동성 잔치가 마무리 국면에 접어들면서 내년부터는 국내 자산 성장세가 약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또한 본격적인 금리 상승기를 맞아 증권사와 카드사, 손해보험사 등 2금융권을 중심으로 자금조달 비용부담 확대에 따른 수익성이 악화될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됐다. 

21일 하나은행 산하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2년 금융산업 전망' 보고서를 발간했다. 연구소는 이번 보고서를 통해 "올해 코로나19 관련 정책지원에 따른 시중 유동성 급증으로 전 금융권에 걸쳐 자산이 크게 증가한 점을 고려할 때 내년에는 전 금융권에 대한 대출규제가 강화되면서 자산 성장이 둔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내년 국내 금융시장은 신용대출에 대한 한도 축소와 기준금리 인상 등으로 투자를 위한 대출수요가 크게 둔화될 것으로 전망됐다. 반면 실수요 중심의 주택담보대출과 전세대출 등에 대한 수요는 여전히 지속돼 대출 증가율이 큰 폭으로 둔화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예상을 내놨다. 아울러 문턱이 높아진 1금융권 대신 2금융으로 수요가 몰리는 '풍선효과'는 대출규제 강화 영향으로 일정 부분 차단될 것으로 점쳐졌다. 

본격적인 금리상승기에 돌입하면서 각 금융업권의 희비 역시 엇갈릴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은행의 경우 순이자마진(NIM)이 저원가성 예금 증가와 대출금리 상승폭 확대 등으로 본격적인 회복세에 진입하고 자산관리 비즈니스 강화에 따른 비이자이익도 동반 상승할 것으로 관측됐다. 다만 코로나 정상화 과정에서 대손비용이 올해보다 증가할 것이라는 판단이다. 생명보험사 역시 금리 상승 수혜를 받아 투자손익 개선, 변액보증준비금 부담 완화 등으로 수익성이 소폭 개선될 것으로 전망했다.

반면 여타 2금융권 업계의 수익성은 자금조달 비용 증가로 인해 전반적으로 약화될 것으로 봤다. 특히 카드, 캐피털과 같은 여전업권의 경우 내년 중 만기가 도래하는 여전채 규모가 36조원에 이르는 데다 파생결합증권의 헤지자산 중 여전채 편입 한도가 축소(15%→12%)되면서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는 판단이다.

연구소는 내년 중 금융건전성 지표에 대해 크게 훼손되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코로나 정상화 과정에서 건전성 지표 일부 악화는 불가피하지만 정부와 민간 금융회사의 연착륙 프로그램과 선제적인 충당금 적립, 위드 코로나 진입에 따른 소비회복 및 취약업종의 매출 증가로 차주의 원리금 상환능력이 개선될 가능성이 높아서다. 다만 취약계층 차주의 잠재 리스크가 상존하는 만큼 다중채무자와 한계기업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한편 내년에는 전자금융거래법 개정, 핀테크 육성지원법 제정 등으로 플랫폼 기업의 금융업 진출과 금융회사의 핀테크 투자가 활성화되는 한편 비대면(언택트) 문화가 일상화되면서 은행-비금융사 간 경쟁이 심화될 것이라는 전망도 내놨다. 금융권 안팎에서 중금리대출과 퇴직연금, 자산관리(WM)시장에서도 경쟁이 치열해질 가능성이 높은 만큼 금융권 스스로 생존을 위한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정희수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내년도 위드 코로나 시대 진입과 동시에 금리상승기를 맞아 금융권은 자산을 확대하기보다 수익성 중심의 내실 경영이 중요하다”면서 “코로나19 영향이 완전히 해소되지 않은 만큼 잠재 리스크를 점진적으로 완화시키는 대책을 준비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