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골목상권 침해 사업 철수한다
2021-09-14 15:14
카카오모빌리티, 꽃·간식·샐러드 중개 사업서 철수
카카오T 택시 멤버십 비용, 대리기사 수수료 인하
5년간 3000억원 상생기금 마련... 글로벌 사업 집중
김 의장 '케이큐브홀딩스', 사회공헌 법인으로 전환
카카오T 택시 멤버십 비용, 대리기사 수수료 인하
5년간 3000억원 상생기금 마련... 글로벌 사업 집중
김 의장 '케이큐브홀딩스', 사회공헌 법인으로 전환
문어발식 사업 확장으로 비난을 받아온 카카오가 상생 카드를 꺼내들었다. 골목상권 침해 논란을 일으켰던 꽃·간식·샐러드 배달 중개 사업에서 모두 손을 뗀다. 무리한 요금 인상으로 비난 받은 택시 중개 앱의 유료 호출 서비스를 폐지하고, 택시 기사용 멤버십 비용과 대리기사 수수료도 대폭 낮췄다. 5년간 3000억원 규모의 상생 기금을 마련하고, 김범수 카카오 의장의 개인 법인 케이큐브홀딩스를 사회공헌을 위한 법인으로 전환한다.
김 의장과 주요 계열사 대표들은 13일과 14일 전체회의를 열어 골목상권 침해 논란이 있는 사업들을 철수하기로 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기업 고객 대상으로 하는 꽃·간식·샐러드 배달 중개 사업에서 손을 뗀다. 이들 사업은 골목상권 진출 직접 가능성에 대해 우려가 있었던 대표적인 사업이다.
카카오T 스마트호출 서비스도 폐지한다. 이는 택시 호출 성공률을 높여주는 유료 배차 시스템이다. 앞서 카카오모빌리티는 스마트호출 비용을 인상하려다가 이용자들의 저항에 부딪혔다. 월 9만9000원에 배차 혜택을 주는 택시기사용 멤버십 서비스의 가격도 3만9000원으로 낮췄다. 대리운전 기사로부터 고정적으로 떼던 수수료 20%도 0~20% 범위의 변동 수수료제를 적용하기로 했다.
높은 수수료율로 논란이 된 카카오헤어샵을 포함해 향후에도 골목상권 침해가 예상되는 사업과 계열사들을 순차적으로 정리한다는 계획이다.
카카오와 계열사들은 플랫폼 생태계에 속한 이들과 상생하기 위해 5년간 상생 기금 3000억원을 마련한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카카오T에 속한 모든 종사자들을 위한 복지 방안을 마련해 연내 세부 계획안을 내놓을 예정이다.
김 의장의 개인 법인 케이큐브홀딩스는 투자사에서 교육, 인재 양성 같은 사회공헌을 위한 법인으로 사업목적을 바꾼다. 김 의장이 재산 절반을 기부하겠다고 밝힌 후에 설립한 공익 재단 '브라이언임팩트'와 같은 철학으로 운영된다고 카카오는 설명했다.
카카오는 ‘내수용 꼬리표’를 떼기 위해 글로벌 사업에도 적극 나서겠다고 밝혔다. 일본, 동남아 등에서 주목받고 있는 웹툰, 웹소설을 포함한 콘텐츠 사업을 앞세울 전망이다.
김 의장은 “최근 지적은 사회가 울리는 강력한 경종”이라며 “카카오와 모든 계열사는 지난 10년간 추구해왔던 성장 방식을 과감하게 버리고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성장을 위한 근본적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김 의장과 주요 계열사 대표들은 13일과 14일 전체회의를 열어 골목상권 침해 논란이 있는 사업들을 철수하기로 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기업 고객 대상으로 하는 꽃·간식·샐러드 배달 중개 사업에서 손을 뗀다. 이들 사업은 골목상권 진출 직접 가능성에 대해 우려가 있었던 대표적인 사업이다.
카카오T 스마트호출 서비스도 폐지한다. 이는 택시 호출 성공률을 높여주는 유료 배차 시스템이다. 앞서 카카오모빌리티는 스마트호출 비용을 인상하려다가 이용자들의 저항에 부딪혔다. 월 9만9000원에 배차 혜택을 주는 택시기사용 멤버십 서비스의 가격도 3만9000원으로 낮췄다. 대리운전 기사로부터 고정적으로 떼던 수수료 20%도 0~20% 범위의 변동 수수료제를 적용하기로 했다.
카카오와 계열사들은 플랫폼 생태계에 속한 이들과 상생하기 위해 5년간 상생 기금 3000억원을 마련한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카카오T에 속한 모든 종사자들을 위한 복지 방안을 마련해 연내 세부 계획안을 내놓을 예정이다.
김 의장의 개인 법인 케이큐브홀딩스는 투자사에서 교육, 인재 양성 같은 사회공헌을 위한 법인으로 사업목적을 바꾼다. 김 의장이 재산 절반을 기부하겠다고 밝힌 후에 설립한 공익 재단 '브라이언임팩트'와 같은 철학으로 운영된다고 카카오는 설명했다.
김 의장은 “최근 지적은 사회가 울리는 강력한 경종”이라며 “카카오와 모든 계열사는 지난 10년간 추구해왔던 성장 방식을 과감하게 버리고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성장을 위한 근본적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