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반적 신용도 회복 속 업종별 온도차 `뚜렷'...해운·정유업계 `훈풍'

2021-07-22 00:16

​코로나19 여파가 1년 이상 지속되는 가운데 국내 산업 지형도가 급격하게 변화 중이다. 그래도 올 상반기는 지난해 충격에서 벗어난 모습이다. 모든 산업군의 산업·신용 전망은 최소 제자리걸음을 이어갔다. 전진한 산업군은 해운업, 철강, 정유 등으로 인플레이션이 경제 전반의 흐름을 이끌었다.

[출처=한국신용평가]
 

21일 한국신용평가는 '2021년 상반기 정기평가 결과와 하반기 산업별 전망 - 기업 부문'을 주제로 웹캐스트를 개최했다. 송민준 한신평 실장은 "전반적으로 실적이 회복세"라면서 "다만 업종 별로 온도차가 확연하다"라고 총평했다.

올 상반기 산업 전망이나 신용 전망이 부정적으로 변화된 산업은 없다. 대신 △해운 △디스플레이 △철강 △정유 △민자발전 △자동차 부품 산업 등은 긍정적으로 변화했다. 반면 △외식·급식 △호텔·면세 △카지노 △영화관 △항공 등은 여전히 맥을 못 추는 모습이다.

특히 해운업은 온라인·모바일 플랫폼 산업과 더불어 `유이'하게 산업은 우호적이고 신용도는 긍정적인 산업으로 재분류됐다. 그간 장기 침체를 겪으며 국가 차원에서 해운 재건 5개년 계획까지 가동했던 해운업은 지난해부터 빠르게 회복하고 있다. 업종 합산 기준 올 1분기 영업이익률이 32.5%로 지난해 같은 기간 4.7%보다 약 7배 개선됐다. 물동량이 빠르게 회복되고 공급망이 정상화된 가운데 항만 적체로 인한 컨테이너선과 벌크선 운임 지수가 급등했기 때문이다.

앞으로도 해운업의 상황은 긍정적이다. 여전히 선복이 부족하고 항만 적체는 이어지고 있기에 해운 시황은 우호적인 분위기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한신평은 △백신 보급에 따른 물류망 정상화 △부양책 종료에 따른 상품 소비 둔화 △신조 발주 증가 △화주의 운임 인하 압력 등의 부정적인 요인도 거론되고 있지만 아직은 산업 전반적으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단계라고 진단했다.

원종현 한신평 실장은 "유가 회복과 온실가스 배출 규제 도입 등은 원가 측면의 부담이지만 시황이 좋아 업계 전반적으로 우수한 이익 창출이 지속되고 있다"고 말했다.

아쉽게도 해운업계의 업황 개선은 전방 산업인 조선업계까지 이어지긴 어려울 전망이다. 조선업계 역시 수요 증가로 업황은 개선됐으나, 최근 후판 가격 상승이 발목을 잡았다.

조선업의 전방 산업인 철강산업은 끝 모를 가격 상승으로 견조한 회복세를 보였다. 공급과잉 우려도 있지만 전 세계적으로 탄소 중립 분위기가 강해지고 있고, 중국의 감산 기조 덕에 급격하게 업황이 변동되지 않을 전망이다.

코로나19로 직접적인 타격을 입었던 정유업계는 완연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마이너스까지 내려갔던 유가는 지난 반기 말 배럴당 70달러를 웃돌며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정제 마진 역시 2.5달러를 돌파했다. SK이노베이션, GS칼텍스 등 정유 업계도 올해는 활짝 웃었다. 올 1분기 정유사 합산 영업이익은 2조2000억원이다. 지난해 정유업계는 연결기준으로 5조원 이상의 영업손실을 내며 모든 기업들이 창사 이래 최악의 실적을 냈다.

하반기 역시 이 같은 흐름이 이어질 전망이다. 홍석준 한신평 실장은 "수요가 추가적으로 늘고, 정제마진이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며 "다만 유가 상승 관련 재고 이익 효과가 줄어들며 올 1분기와 비교해서는 이익 규모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다.

'신축 사랑'이 이어지고 있는 건설업은 안정적인 업황을 이어갈 전망이다. 게다가 매수세도 상당하다. 최근 대구 등 일부 지역은 미분양이 늘어나고 있지만, '집값 상승'이 확인을 넘어 신앙화되고 있는 분위기인지라 매수 심리는 꺾일 줄 모르고 있다. 홍 실장은 "주택 경기 호조를 바탕으로 건설사 전반적으로 우수한 영업실적이 지속되고 있다"면서 "부동산 경기의 불확실성은 내재돼 있지만, 가능성은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한신평은 하반기 주요 모니터링 요인으로 △최근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확산으로 인한 각 업종별 수요 회복 속도의 변화 △국제 유가 등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기업들의 원가부담 증가 폭 △코로나19의 수혜로 수요가 크게 증가한 일부 업종의 우호적 수급 환경 추세화 여부 △상대적으로 회복 속도가 더디거나 실적이 부진한 업종과 기업들의 중단기적 유동성과 자본 확충 계획 등을 꼽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