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인영 "시민이 도출한 '통일국민협약안' 文 대통령께 전달"

2021-07-05 17:57
"진보·중도·보수·종교계가 같은 목표를 향해 힘 합쳐"

이인영 통일부 장관이 5일 삼청동 남북회담본부를 방문해 발언하고 있다. [사진 = 통일부 제공]

이인영 통일부 장관은 5일 시민사회가 국민적 합의를 모아 채택한 '통일국민협약'을 전달받고 "민간 주도, 정부 지원 대원칙 아래 시민 참여 정책 모델을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약속했다. 

각계각층 시민이 참여하는 초당파적 모임인 '평화·통일비전 사회적 대화 전국시민회의'(이하 전국시민회의)와 시민참여단은 이날 오전 삼청동 남북회담본부를 방문해 이 장관에게 통일국민협약과 권고문을 전달했다.

이 장관은 전달식에서 "'우리가 바라는 미래의 한반도는 군사적 위협이 없는 평화로운 한반도다'로 시작하는 이 협약의 문구 하나하나가 단지 문서로 그치는 게 아니라, 평화·통일정책 현장과 남북관계 역사 속에 살아 움직이도록 모든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 장관은 "협약안은 대통령께도 전달드릴 예정이며, 시민 대표를 통해 국회에도 전해지는 것으로 안다"며 "국회와도 긴밀한 협조를 통해 협약안에 대한 여야의 지지와 뒷받침을 이끌어 내도록 정성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이어 이 장관은 "그동안 남북관계 정책이 주로 정부와 전문가 주도로 수립돼 진정한 평화의 주인이자 통일의 기반인 국민의 목소리는 소외되는 경우가 많았다"며 "통일국민협약은 진보·중도·보수·종교계가 같은 목표를 향해 힘을 합쳐 함께 행동해본 값진 경험"이라고 강조했다. 

통일국민협약은 지난 2017년 문재인 정부가 출범하며 선정된 국정과제로, 2018년부터 본격 추진됐다. 그동안 대북정책이 정권에 따라 일관성을 갖지 못했고 정부 및 전문가 의견 위주로만 마련돼 일반 국민의 목소리를 반영하지 못했다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다. 

2019년 전국시민회의가 출범해 협약안 마련을 위한 사회적 대화를 본격적으로 진행했고, 지난달 국민이 바라는 한반도 미래상과 그 미래상을 실현하기 위한 세부 과제가 각각 담긴 통일국민협약과 권고문이 채택됐다. 

협약안은 지난 2018년부터 본격 추진된 사회적 대화를 통해 도출된 것이다. 통일부에 따르면, 보수·진보·중도, 종교계 등을 아우르는 시민들이 참여했다. 협약안은 바람직한 한반도 미래상과 이를 실현하기 위한 과정과 방법 등을 다루고 있다. 또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국회, 비정부기구,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권고문 채택도 이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