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칼럼] 유료방송 사업자 간의 분쟁 속 평화는 오는가?

2021-07-01 00:05

요즘 언론에서 플랫폼과 콘텐츠 사업자 간 적정 콘텐츠 대가에 대한 논쟁이 연일 지속되고 있다. 이 논쟁은 콘텐츠 사업자에 대한 투자 대비 적정한 보수 지불과 플랫폼 사업자의 적정한 매출원가 사이에 절충점을 찾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위 두 가지 문제는 정답이 존재하지 않는다. 누가 옳고 그르다의 문제가 아니다. 물건을 파는 쪽은 당연히 더 받고 싶고, 물건을 사는 쪽은 조금이라도 덜 내고 싶은 것이다. 현재의 미디어 시장은 넷플릭스와 같은 글로벌 OTT사업자가 국내에 본격적으로 진출한 이래 콘텐츠의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고 있는 실정이다. 물론 글로벌 OTT의 기준에 맞는 콘텐츠에 한해서다. 넷플릭스를 비롯해 국내 OTT들과 앞으로 진출할 디즈니까지 고려하면, 콘텐츠 가격이 오르는 것은 어쩌면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시장논리는 IPTV에는 통용되지 않는다. IPTV는 방송통신위원회가 발표한 방송사업자 재산상황에서 유일하게 전년 대비 방송사업 매출액이 두 자릿수 이상으로 증가했다. 모든 방송사업자 중 IPTV와 지상파 일부를 제외하고 나머지 사업자는 모두 매출액이 감소하였다. 영업이익 역시 전년 대비 21.5%나 늘었다. 모든 방송사업자들 중 유일하게 높은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IPTV는 유료방송(OTT 포함) 사업자 중 유일하게 프로그램 사용료 지급률이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기본채널 기준으로 IPTV의 수신료 매출 대비 프로그램 사용료 지급 비중은 2019년 25.4%에서 지난해 24.9%로 낮아졌다. 콘텐츠 사업자들의 콘텐츠를 통해 매출이 큰 폭으로 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 대가에 대한 배분 수준을 줄인 것이다. 반면 경쟁 사업자인 SO(종합유선방송사업자)는 기본채널 수신 매출액 기준 61.3%를 배분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SO에게는 매출 증가가 어려운 환경임에도 불구하고 프로그램 사용 대가를 높여 지급한 것이다. 게다가 IPTV는 지난해 TV홈쇼핑 사업자들로부터 받는 송출 수수료를 전년 대비 22.3%나 올려 받았다. 이렇게 최고의 성과를 낸 IPTV는 성과의 기초가 된 프로그램 대가를 적정하게 배분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을까?

최근 어느 IPTV 사업자 측은 CJ ENM에 콘텐츠 대가 인상률이 지나치게 과도하다고 주장하였다. OTT 또는 OTT와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사업자에게 10배 이상 인상을 요구했다는 소문도 일고 있다. 일견 CJ ENM이 무리하게 요구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지만, 가입자당 콘텐츠 사용료가 월 100원에도 미치지 못한다는 보도가 얼마 전 있었다. 절대 규모가 작기 때문에 인상률만으로 판단하는 것은 무리라고 할 수 있다. CJ ENM이 일부 IPTV사업자에게 11개 채널을 공급한 것을 고려해 보면, 채널당 10원에도 미치지 못하는 사용료를 배분받고 있다는 이야기다. 글로벌 OTT 사업자 이용료가 한달에 1만원 이상이고 이에 대한 수익 배분률을 고민해 보면, 우리 콘텐츠가 얼마나 대가를 낮게 평가 받고 있는지 고민해야 할 시점이다.

일부 IPTV사업자와 CJ ENM의 분쟁에서 가장 중요한 핵심은 국내 콘텐츠에 대한 가치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점이다. 넷플릭스 한 회사가 우리나라 콘텐츠 사업자에게 투자하는 규모(4000억원 이상)를 고려해 볼 만하다. 우리나라 유료방송 사업자들은 스스로 서비스 이용료를 올리기 어렵다는 자기 규제에 빠져 있다. 그러나 글로벌 사업자와 네이버, 카카오 사례를 살펴봤을 때, 콘텐츠의 품질을 올렸을 때 무료를 유료화하거나 가격을 올리더라도 고객의 선택과 지불의사액이 높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플랫폼 사업자가 콘텐츠 대가를 높여주고 제대로 투자를 하면 콘텐츠의 질이 올라가고, 이는 시청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며 유료방송 플랫폼의 이용 요금을 높이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이제 산업 내 경쟁에서 산업 간 경쟁으로 옮겨가는 시점이며 이때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대규모 투자를 고민할 시점이다. 이와 함꼐 콘텐츠 거래 시장 질서의 안정을 위한 정부의 적극적 역할도 고민할 때이다.
 
 

[김용희 오픈루트 전문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