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허브] 백신 허브냐 공장이냐…기술력 확보가 관건

2021-06-17 07:55

16일 오전 서울 노원구민체육센터에 마련된 백신접종센터에서 한 의료진이 백신접종을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국내 바이오 기업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하 코로나19) 주요 백신의 위탁생산을 맡으면서 급부상한 '백신 허브'에 대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전문가는 우리나라가 백신 허브 국가로 도약할지 아니면 단순히 백신 공장이 있는 나라에 그칠지 여부는 결국 기술력 확보에 있다고 강조했다.

16일 제약·바이오 업계에 따르면 인도는 전 세계 코로나19 백신의 60%를 생산하는 백신생산 대국으로, 자국 백신 보유량도 여유로워 한때 주변국에 백신을 나눠주는 '백신외교'를 폈다. 그러나 최근 변이 바이러스 유행으로 확진자가 급증하자 약 한 달 전부터 백신 수출을 중단했다.

미국이 최근 한·미 정상회담에서 새로운 백신 공장으로 한국을 지목한 것은 한국의 기술력과 생산력을 활용해 공백이 생긴 인도·태평양 시장을 선점하면서 동시에 중국을 견제하려는 목적으로 풀이된다.

전문가는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mRNA 백신 기술을 최대한 확보해야 기술과 생산력이 집약된 '백신허브'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렇지 않고서는 단순한 '백신 공장'에 불과할 수 있다는 것이다.

박상철 전남대 석좌교수는 이날 본지와의 통화에서 "제일 중요한 것은 기술 개발이다. mRNA 백신은 3세대 백신으로 볼 수 있는데, 앞선 1,2세대 백신은 사실 어디서든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중국과 인도에서 제조한다면 우리나라는 경쟁력이 없다"며 "최신 기술인 3세대 mRNA 백신 생산력을 확보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문가는 mRNA 백신 기술 확보를 위해 식품의약품안전처 등 국내 허가 당국의 역할도 강조했다.

박 교수는 "기술 확보를 위해 인허가 시스템이 확립돼야 한다"며 "인체에 사용되는 모든 치료제, 백신, 장비 등은 인허가를 받아야 한다. 문제는 국내 허가만이 아니라 해외 시장에서 통용되는 것을 받아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국내에서 생산될 백신이 해외에서도 인정받을 수 있도록 허가 시스템을 잘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다만 인도의 전철을 밟지 않으려면 변이 바이러스 관리 등에 신경 써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방역이 무너질 경우 백신 생산·개발 계획이 순식간에 와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한국이 모더나 백신 완제품을 생산하기로 한 것에 대해 "원액보다 완제를 갖고 있을 때 유리한 점은 국내에서 수억 회분의 완제품들이 나온다는 것"이라며 "우선 공급받는다든지 혹은 배달하고 공급받는 효율성 측면에서 유리한 점들이 생겨난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