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칼럼] ​필(必) 탄소중립 시대, 탄소흡수원 확대와 생물 공존의식의 동행

2021-05-16 19:00

박용목 국립생태원장 [사진=국립생태원 제공]

코로나19 펜데믹은 인류의 삶을 송두리째 흔들었지만 범지구적인 환경의식 증진과 확산이라는 긍정의 역설도 낳았다. 많은 이들이 코로나19를 겪으며 코로나의 배후에 심각한 기후변화의 영향이 있으며, 그 주범이 배출탄소라는 사실을 깨닫고 관심을 두게 됐다.

지난해 10월 우리 정부도 2050 탄소중립을 선언했다. 당시만 해도 탄소중립은 낯선 용어였으나 얼추 반년의 시간이 지나며 생활 용어로 자리 잡았다. 탄소중립이란 탄소배출량과 탄소흡수량이 균형을 이뤄 탄소 순배출량이 제로(0)가 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용어다. 쉽게 생각하면 배출량은 빼고, 흡수량은 더하면 탄소중립에 도달한다는 논리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 탄소중립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사회 전반에서 걸쳐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적지 않다.

국제과학 공동협의체인 글로벌 카본 프로젝트(GCP)에 따르면 2019년 기준으로 우리나라는 연간 6억1126만톤의 이산화탄소(CO2)를 배출해 세계 9위의 배출국이다. 따라서 우리나라가 ‘지구온난화 1.5°C 특별보고서’의 목표를 이행하려면 2030년까지 CO2배출량을 3억1128만톤으로 감축해야 한다. 앞으로 10년간 최소한 전년도 보다 매년 5.95% 이상 감축이라는 강행군이 불가피한 실정이다.

탄소배출량 감축을 위해 탄소배출을 억제하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고 저감 신기술을 개발하는 것은 물론 배출탄소를 잡아줄 수 있는 탄소흡수원을 지속해서 확대해 나가야 한다. 대표적인 탄소흡수원은 나무이다. 2015년 토머스 크라우스 박사 연구팀에 따르면 지구에는 3조 그루 이상의 나무가 있으며, 2009년도 자료를 보면 우리나라에는 진달래와 같은 관목류를 포함해 최소 2800억 그루의 나무가 있다. 이 중 교목류 등 목재로 활용 가능한 나무는 80억 그루 이상이 될 것으로 추산된다.

우리나라는 산림 수종별 탄소순흡수량 국가 표준 등을 마련하고 있기에 다양한 탄소흡수원의 효과를 비교적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으며, 2050년까지 30억 그루의 나무를 심어 온실가스 흡수량을 연간 3400톤으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그리고 계획대로 배출탄소 감축을 실현해 낼 것으로 바라고 확신하지만 탄소흡수원의 확대 과정에서 신중을 기해야 할 것이 있다.

사람이 나이가 들면 신진대사 능력이 떨어지듯이 나무도 수령에 따라 탄소흡수량이 변한다. 그래서 늙은 수목을 제거하고 흡수력이 우수한 20~30년 수령의 나무를 늘리기 위한 산림 재조림 방안이 계획되고 있다. 재조림도 탄소흡수량 증대를 위한 방안의 하나이니 중요하겠으나, 국가의 지속가능한 자연환경을 가꾸고 보전하는 기관의 입장에서 볼 때 재조림이 생태적 측면에서 긴 안목을 가지고 진행됐으면 하는 바람이다.

나무를 베어내면 동물이 사라지고, 생물다양성은 추락한다. 동물에게 있어 도로나 인공물로 끊어진 생태계를 건너 새로운 서식지를 찾아가는 것은 목숨을 걸어야 하는 일이다. 로드킬을 당하거나 유리창에 부딪혀 죽은 동물이 그 증거다. 나무가 없어지면 동물은 살 수 없다. 다람쥐는 도토리를 땅에 묻고, 동박새는 동백꽃에서 꿀을 빨며 살아야 한다. 동물은 탄소흡수원을 소모하지만 나무 해충을 줄이고, 나무의 수를 조절하며, 이끼나 풀 같은 또 다른 탄소흡수원들이 나무와 더불어 살아가게 한다. 그 공존의 효과로 나무가 불어나고, 숲은 넓어진다. 탄소중립으로 가는 길이 바쁘겠으나 늙은 나무와 그들을 삶의 터전으로 살아가는 동물을 위한 공존의 배려를 잊지 않았으면 한다.

탄소중립으로 가는 셈법은 명쾌하다. 우리나라는 지난해 12월 ‘대한민국 2050 탄소중립 전략’을 수립함으로써 이미 해법을 제시했다. 이제 남은 일은 꾸준히 실천하는 일이다. 그리고 필(必)탄소중립 시대로 나아가는 실천의 길에 다양한 생물과의 공존의식이 동행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