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너진 공공외교] 컨트롤타워 없는 공공외교…소프트파워 시대 역주행
2021-05-14 03:00
포스트코로나 시대 ‘신(新) 공공외교 중요하지만 정부 대응 늦어
21세기 패권경쟁은 '소프트파워'를 확보하기 위한 공공외교(Public Diplomacy) 경쟁이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변수와 미·중 패권 경쟁으로 인한 신(新) 냉전시대 확대로 인해 '공공외교'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하지만 한국은 공공외교를 위한 제대로 된 '컨트롤 타워'가 없어 '소프트파워' 시대를 역주행하고 있다는 지적이 크다. <관련 기사 2면>
'공공외교'란 국가나 사회의 구성원이 두루 주체가 돼 국가의 이미지를 개선하기 위해 외국 국민을 상대로 국가활동을 전개하는 외교다. 기존 '하드파워'에 기반을 둔 낡은 패권경쟁과는 다르다. 특히 21세기 공공외교는 자국의 역사·전통·문화·예술 등 소프트파워를 활용한 개방형 외교의 중요성이 부각된 ‘신(新) 공공외교’로 변화하고 있다.
한국의 공공외교 수준은 여전히 '걸음마 단계'다. 뒤늦게 공공외교의 중요성을 깨달은 데다 전담 조직도 분산돼 있기 때문이다. 정부는 공공외교가 전 세계적인 주목을 받게 되자 2011년 공공외교대사를 임명하고, 2016년 2월에는 공공외교법을 제정했다. 문화외교, 지식외교, 정책공공외교 세 분야로 나눠 공공외교를 분류하고 있지만 각 기관들이 수행하는 사업이 유사하거나 중복되는 등 제대로 된 체계가 없는 상황이다.
미국은 1999년 '9·11 테러' 이후 하드파워의 한계를 깨달으면서 공공외교를 확대했다. '해외공보처'를 국무부 산하 조직으로 편입시켜 공공외교를 일원화했다. 이후 문화·예술, 언어, 정책 등 '소프트파워'를 활용한 공공외교를 새로운 길로 제시했다.
우리가 공공외교의 컨트롤 타워 부재에 시달린 사이, 중국과 일본은 공공외교를 확대해 국제사회에 자국에 대한 우호적인 인식을 전개 중이다. 중국의 동북공정과 일본의 역사왜곡 문제는 방송·드라마·게임 등 우리나라 문화산업까지 침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