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출신 낙하산 선정 기준 밝혀라!”…국회 요청에도 IBK “내부 기밀”
2021-04-26 14:50
베일 속 '출자업체 경영관리위원회'…규정 비공개
윤종원 행장 구설수…국회 요청에도 '요지부동'
당국 신중 모드…"자회사 관리 부문 살펴볼 것"
윤종원 행장 구설수…국회 요청에도 '요지부동'
당국 신중 모드…"자회사 관리 부문 살펴볼 것"
[데일리동방] IBK기업은행 자회사를 둘러싼 '낙하산' 논란에 국회까지 공식 해명을 요구하고 나섰지만 모르쇠로 일관하는 은행 측 태도가 도마 위에 올랐다. 기업은행 자회사 임원에 최근 청와대 출신 인사가 기용되면서 논란이 확산하는 가운데, 해당 임원 선임 과정에 대해 방관하는 기업은행 측 반응에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 민병덕 더불어민주당 의원 등은 기업은행 자회사인 IBK서비스 부사장에 최근 취임한 김상진(54) 건국대 정치외교학과 교수에 대한 선임 절차 등을 은행 측에 요구했으나 공식 답변을 내놓지 않고 있다.
이달 16일자로 부임한 김 부사장은 IBK서비스 대표이사 다음 서열로, 금융공기업 경력이 전무한 청와대 행정관 출신이라는 점에서 논란의 중심에 서 있다. 특히 국회의원 선거 출마 이력을 보유하며 집권 여당 당적을 가진 것으로 추정되는 김 부사장의 기용은 전문경영인과는 거리가 먼 정치인이 국책은행 자회사 고위 임원에 꽂힌 양상을 그리고 있다.
김 부사장을 겨냥한 낙하산 논란이 불거지는 결정적인 이유는 앞서 윤 행장이 청와대 경제수석을 지낸 직후 기업은행장에 임명된 전례 때문이다. 지난해 1월 금융위원장 제청으로 대통령이 윤 행장을 임명하자 기업은행 노조는 낙하산 인사를 지적하며 금융공기업 통틀어 가장 길었던 26일간 기관장 출근 저지에 나서기도 했다.
더 문제가 되는 것은 모회사인 기업은행의 나몰라라식 입장이다. 기업은행 내부에는 자회사의 경영 사안을 논의하는 회의체로서 '출자기업체 경영관리위원회(경영관리위)'를 두고 있으나 이날 현재까지 기업은행 측은 해당 위원회 구성과 역할, 운영 규정 등을 묻는 질문에 묵묵부답인 상태다.
경영관리위는 기업은행 사내이사와 임원들이 참여하는 것으로 전해졌음에도 은행 측은 '비공개' 입장을 유지 중이다. 이 같은 기업은행의 대응은 경영관리위가 제대로 작동되는지, 유명무실한 것은 아닌지 각종 의혹만 증폭시키고 있다는 비난을 자초하고 있다.
특히 낙하산 인사와 관련해 이번에도 윤 행장이 구설수에 오르내리고 있다. 업계에서는 자회사 임원 선임 절차에 모회사가 직접 개입하지 않았다 해도 정치색이 다분한 고위 임원이 선임되는 사실을 윤 행장이 사전에 충분히 인지하고 있었을 것이란 추측이 난무하고 있다.
사정이 이렇지만 기업은행은 취재진은 물론 금융권을 총괄하는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의원들의 질의에도 요지부동이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IBK서비스는 당행과 독립경영 중인 법인으로, 서비스의 인사는 해당회사 소관"이라고 일축했다.
경영관리위에 대한 수차례 질의에도 "경영관리위는 당행 자회사운영부에서 업무를 맡고 있지만 지배구조 개념이 아닌 데다 내부 자료라 공개할 수 없다"는 답변만 돌아왔다. IBK서비스 역시 임원후보추천위원회 등 자사 임원 선임 절차와 규정을 묻는 질문에 "공식적으로 답변이 불가하다"고 되풀이했다.
이에 대해 금융당국은 신중한 모습을 견지하며 기업은행 대상의 정식 검사 기회가 생길 경우 이번 선임건을 검사 대상에 포함할 의지를 내비쳤다. 당국 관계자는 "경영관리위가 비공개 사항인지는 좀 더 알아봐야 한다"면서도 "임원 선임건만 특정해 검사를 벌일 수는 없지만 기회가 생긴다면 경영관리 실태평가·자회사 관리 부문을 두루 살펴볼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김 부사장은 김대중 전 대통령 시절인 1998년 7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 대통령비서실 소속 행정관으로 근무했다. 또 국회의원 보좌관과 국회 정책연구위원 등을 역임한 이후 지난해 4월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서울 광진을 지역구 예비후보로 출마한 경력도 보유하고 있다.
IBK서비스는 청소·주차·경비 등 용역근로자 고용 업무를 맡고 기업은행이 2018년 12월 전액 출자해 설립했다. 공공기관 경영정보공개시스템(알리오)에 공시된 IBK서비스의 2019년 기준 매출액은 276억원, 당기순이익은 9억3000만원 가량이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 민병덕 더불어민주당 의원 등은 기업은행 자회사인 IBK서비스 부사장에 최근 취임한 김상진(54) 건국대 정치외교학과 교수에 대한 선임 절차 등을 은행 측에 요구했으나 공식 답변을 내놓지 않고 있다.
이달 16일자로 부임한 김 부사장은 IBK서비스 대표이사 다음 서열로, 금융공기업 경력이 전무한 청와대 행정관 출신이라는 점에서 논란의 중심에 서 있다. 특히 국회의원 선거 출마 이력을 보유하며 집권 여당 당적을 가진 것으로 추정되는 김 부사장의 기용은 전문경영인과는 거리가 먼 정치인이 국책은행 자회사 고위 임원에 꽂힌 양상을 그리고 있다.
김 부사장을 겨냥한 낙하산 논란이 불거지는 결정적인 이유는 앞서 윤 행장이 청와대 경제수석을 지낸 직후 기업은행장에 임명된 전례 때문이다. 지난해 1월 금융위원장 제청으로 대통령이 윤 행장을 임명하자 기업은행 노조는 낙하산 인사를 지적하며 금융공기업 통틀어 가장 길었던 26일간 기관장 출근 저지에 나서기도 했다.
더 문제가 되는 것은 모회사인 기업은행의 나몰라라식 입장이다. 기업은행 내부에는 자회사의 경영 사안을 논의하는 회의체로서 '출자기업체 경영관리위원회(경영관리위)'를 두고 있으나 이날 현재까지 기업은행 측은 해당 위원회 구성과 역할, 운영 규정 등을 묻는 질문에 묵묵부답인 상태다.
경영관리위는 기업은행 사내이사와 임원들이 참여하는 것으로 전해졌음에도 은행 측은 '비공개' 입장을 유지 중이다. 이 같은 기업은행의 대응은 경영관리위가 제대로 작동되는지, 유명무실한 것은 아닌지 각종 의혹만 증폭시키고 있다는 비난을 자초하고 있다.
특히 낙하산 인사와 관련해 이번에도 윤 행장이 구설수에 오르내리고 있다. 업계에서는 자회사 임원 선임 절차에 모회사가 직접 개입하지 않았다 해도 정치색이 다분한 고위 임원이 선임되는 사실을 윤 행장이 사전에 충분히 인지하고 있었을 것이란 추측이 난무하고 있다.
사정이 이렇지만 기업은행은 취재진은 물론 금융권을 총괄하는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의원들의 질의에도 요지부동이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IBK서비스는 당행과 독립경영 중인 법인으로, 서비스의 인사는 해당회사 소관"이라고 일축했다.
경영관리위에 대한 수차례 질의에도 "경영관리위는 당행 자회사운영부에서 업무를 맡고 있지만 지배구조 개념이 아닌 데다 내부 자료라 공개할 수 없다"는 답변만 돌아왔다. IBK서비스 역시 임원후보추천위원회 등 자사 임원 선임 절차와 규정을 묻는 질문에 "공식적으로 답변이 불가하다"고 되풀이했다.
이에 대해 금융당국은 신중한 모습을 견지하며 기업은행 대상의 정식 검사 기회가 생길 경우 이번 선임건을 검사 대상에 포함할 의지를 내비쳤다. 당국 관계자는 "경영관리위가 비공개 사항인지는 좀 더 알아봐야 한다"면서도 "임원 선임건만 특정해 검사를 벌일 수는 없지만 기회가 생긴다면 경영관리 실태평가·자회사 관리 부문을 두루 살펴볼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김 부사장은 김대중 전 대통령 시절인 1998년 7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 대통령비서실 소속 행정관으로 근무했다. 또 국회의원 보좌관과 국회 정책연구위원 등을 역임한 이후 지난해 4월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서울 광진을 지역구 예비후보로 출마한 경력도 보유하고 있다.
IBK서비스는 청소·주차·경비 등 용역근로자 고용 업무를 맡고 기업은행이 2018년 12월 전액 출자해 설립했다. 공공기관 경영정보공개시스템(알리오)에 공시된 IBK서비스의 2019년 기준 매출액은 276억원, 당기순이익은 9억3000만원 가량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