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2022 베이징 올림픽 '보이콧' 검토"…스포츠로 번진 미·중 인권갈등
2021-04-07 06:52
국무부 "동맹 공동 보이콧 논의 진행 중"
미국과 중국의 패권경쟁이 세계인의 축제 ‘올림픽’에도 영향을 줄 전망이다.
6일(이하 현지시간) 미국 국무부가 미국과 동맹국이 중국 베이징(北京)에서 열리는 2022년 동계올림픽 공동 불참 운동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고 CNBC는 전했다.
네드 프라이스 미국 국무부 대변인은 이날 미국이 동맹과 베이징올림픽 공동 보이콧을 협의하느냐는 질문에 “우리가 분명히 논의하고 싶은 것”이라며 “그것은 조율된 접근이 우리의 이익에 해당할 뿐만 아니라 동맹 및 파트너의 이익에 해당하는 것이라고 우리가 이해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것은 지금과 향후 모두 의제에 올라있는 주제 중 하나”라고 덧붙였다.
베이징올림픽 참가 여부 결정 시기에 대해선 “2022년 일이다. 아직 2021년 4월이라 시간은 남아있다”면서 “시간표를 제시하고 싶진 않지만, 논의는 진행 중”이라고 답했다.
CNBC는 “프라이스 대변인은 미국이 아직 결정을 내리지 않았다고 했지만, 중국의 심각한 인권 침해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며 “베이징올림픽 보이콧 운동은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중국에 대한 국제적 반발을 일으키고자 동맹국 협력에 노력하면서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젠 사키 미국 백악관 대변인은 지난 2월 말 베이징올림픽 참가 여부에 대해 최종 결정이 내려진 게 아니라는 입장을 내놓으며 관련 논의가 없었다고 했다. 그러나 이날 프라이스 대변인이 ‘논의 중’이라고 밝힘에 따라 미국의 ‘베이징올림픽 보이콧(boycott·조직적 ·집단적으로 벌이는 거부운동)’ 움직임이 본격화될 것으로 예측된다.
CNBC는 정치컨설팅업체 유라시아그룹의 보고서를 인용해 미국이 캐나다, 영국, 호주 등과 함께 정부대표단을 보내지 않거나 대표단의 급을 하향하는 식의 ‘외교적 보이콧’에 나설 가능성이 60%라고 내다봤다. 다만 일본과 인도, 한국 같은 미국의 아시아 동맹국은 보이콧에 동참하지 않으리라고 전망했다.
보고서는 이들이 선수들의 올림픽 참가를 막는 방식으로 보이콧에 나설 가능성은 30%라고 진단했다. 아울러 미·중 긴장이 누그러지면 공식적 보이콧은 하지 않고 각국 정상이 일정상의 이유를 들어 불참할 가능성 10%가 있다고 전했다.
6일(이하 현지시간) 미국 국무부가 미국과 동맹국이 중국 베이징(北京)에서 열리는 2022년 동계올림픽 공동 불참 운동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고 CNBC는 전했다.
네드 프라이스 미국 국무부 대변인은 이날 미국이 동맹과 베이징올림픽 공동 보이콧을 협의하느냐는 질문에 “우리가 분명히 논의하고 싶은 것”이라며 “그것은 조율된 접근이 우리의 이익에 해당할 뿐만 아니라 동맹 및 파트너의 이익에 해당하는 것이라고 우리가 이해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것은 지금과 향후 모두 의제에 올라있는 주제 중 하나”라고 덧붙였다.
베이징올림픽 참가 여부 결정 시기에 대해선 “2022년 일이다. 아직 2021년 4월이라 시간은 남아있다”면서 “시간표를 제시하고 싶진 않지만, 논의는 진행 중”이라고 답했다.
CNBC는 “프라이스 대변인은 미국이 아직 결정을 내리지 않았다고 했지만, 중국의 심각한 인권 침해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며 “베이징올림픽 보이콧 운동은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중국에 대한 국제적 반발을 일으키고자 동맹국 협력에 노력하면서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젠 사키 미국 백악관 대변인은 지난 2월 말 베이징올림픽 참가 여부에 대해 최종 결정이 내려진 게 아니라는 입장을 내놓으며 관련 논의가 없었다고 했다. 그러나 이날 프라이스 대변인이 ‘논의 중’이라고 밝힘에 따라 미국의 ‘베이징올림픽 보이콧(boycott·조직적 ·집단적으로 벌이는 거부운동)’ 움직임이 본격화될 것으로 예측된다.
CNBC는 정치컨설팅업체 유라시아그룹의 보고서를 인용해 미국이 캐나다, 영국, 호주 등과 함께 정부대표단을 보내지 않거나 대표단의 급을 하향하는 식의 ‘외교적 보이콧’에 나설 가능성이 60%라고 내다봤다. 다만 일본과 인도, 한국 같은 미국의 아시아 동맹국은 보이콧에 동참하지 않으리라고 전망했다.
보고서는 이들이 선수들의 올림픽 참가를 막는 방식으로 보이콧에 나설 가능성은 30%라고 진단했다. 아울러 미·중 긴장이 누그러지면 공식적 보이콧은 하지 않고 각국 정상이 일정상의 이유를 들어 불참할 가능성 10%가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