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균형발전 17년] ②청년 인재 유출 심각…지역 유턴 활성화 방안 과제로

2021-04-01 06:00
‘지역기업 인재 확보 실패→지역경제 침체→추가 인재 유출’ 악순환 고리
균형위 주최 토크콘서트서 관련 대책 논의…김사열 “대학, 지역 명운 좌우”

대통령 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와 대구시가 지난달 26일 대구시청년센터상상홀에서 청년 인재 유출을 주제로 토크콘서트를 개최하고 있다. [사진=균형발전위원회 제공]


# “비수도권 전역에서 터져 나온 대학정원 미달 사태로 지역사회는 위기의식이 고조돼 있습니다. 대구 서구가 인구소멸 위험지역에 진입하는 등 대도시도 더 이상 지역소멸 위기에서 벗어날 수 없는 상황입니다. 지역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균형발전 정책 개발이 시급합니다.”(지민준 뷰티인사이드 대표)

# “청년실업과 지역소멸의 두 가지 국가적 난제가 맞닿은 지점이 청년 유출입니다. 수도권에서 경력을 쌓은 청년들의 유턴 정책으로 일거양득의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균형위원회, 청년정책추진단 주도로 지방자치단체, 민간, 청년이 참여하는 ‘청년귀환정책특위’ 구성을 제안합니다.”(김요한 대구시 청년정책과장)

#“청년들이 개방된 조직문화, 일·가정 병행 가능한 회사를 찾아 수도권에 몰린다는 점을 간담회 등에서 들었습니다. 소위 ‘꼰대’ 없는 조직문화, 양호한 급여 수준, 앵커기업 등 청년이 선호하는 일자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양병내 대통령 직속 균형발전위원회 총괄기획국장)


대통령 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와 대구시가 지난달 26일 대구시청년센터상상홀에서 개최한 토크콘서트에는 청년 인재 유출 문제에 대한 다양한 의견들이 나왔다.

‘청년들의 지역유턴’을 주제로 한 토크콘서트는 균형발전주간 행사의 마지막 날의 대미를 장식했다.

미래 지역발전과 활력의 핵심인 청년이 지역에 돌아와 정착할 수 있도록 지원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이번 자리를 마련하였다.

먼저 ‘청년’의 정의는 비수도권에서 고등학교까지 마치고 수도권으로 이동한 19~34세(청년기본법)로 해석했다.

주제발표를 받은 김준영 한국고용정보원 팀장에 따르면 지난 50년(1970~2020) 동안 비수도권 인구는 12% 증가한 반면, 수도권 인구는 184% 급증했다.

김 팀장이 1993년에 5~9세였던 아동 인구가 20년 후 청년으로 성장하면서 지역별로 유출·유입된 현황을 분석한 결과, 25~29세 인구규모가 이전 시점(20~24세)에 비해 감소한 것은 해당지역 대학을 졸업한 청년들이 해당 지역에서 일자리를 찾지 못해 타 지역에서 첫 취업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30~34세 인구규모 감소는 해당지역 청년들이 더 좋은 근로조건 및 적성을 찾아 타 지역으로 이직한 것으로 해석되고 청년의 타 지역 유출은 지역인구 감소, 지역인구 고령화, 지역 활력 저하를 유발해 지역의 발전을 저해한다”면서 “‘지역기업 인재확보 곤란→지역경제 침체→인재 추가 유출’의 악순환이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지역별로는 지난해 영남권(52%), 중부권(25%), 호남권(23%) 순으로 수도권으로 청년 순유출이 많았다.

박민규 대구경북연구원 연구위원의 발표에 따르면 지방청년의 수도권 이주 시기는 대학 진학(43.8%), 수도권 취업(34.8%), 취업준비(11.8%) 순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으로의 이주 목적은 일자리(52.9%), 학업(17.6%)이 가장 많았고 지역의 일자리 애로점으로는 급여수준(26.8%), 다양한 일자리·기업부재(25.7%), 큰 기업체 부재(22.8%) 등으로 집계됐다.

반면 수도권 생활의 애로사항은 주거·주택마련(58.5%), 물가·생활비(18.6%), 경쟁문화(9%) 등이고 지방이주 의향은 52.8%(정책지원 시 69.6%), 지방이주 시 일자리 방안은 취업(73.9%), 창업(23.9%) 순이다.

박민규 위원은 청년의 지역유입 및 정착을 위해 지역의 중추도시를 중심으로 유입·정착 프로젝트를 추진한다고 제언했다.

이를 위한 9대 프로젝트는 △2차 공공기관 지방이전 △비즈니스서비스산업 육성 △청년친화형 도심융합특구 조성 △청년소셜벤처클러스터 구축 △청년귀환프로젝트(대구시·부산시) 확대 △청년유턴지원센터 설치 △빈집활용 청년유턴공간 지원 △수도권대학 지방이전 촉진 △청년 유턴 지원 균형발전특별법 개정 등을 제시했다.

김사열 균형발전위원장은 “지역균형발전 차원에서 대학은 개별 학교 하나, 하나의 근시안적 이슈로 봐서는 안 되고 공동체 전체, 지역의 명운을 좌우할 수 있는 핵심 주체이자 어젠다로 접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올해는 대학입학 정원이 진학 예정인원보다 많은 첫해가 될 것으로 보이며, 2024년에는 정원대비 약 12만명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지역대학들이 본연의 기능을 회복하고 종합적인 역량을 지역사회에 제공할 수 있는 획기적인 지원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대학정원 감축 문제 균형발전 개념을 대입하는 등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면서 “지자체는 지역인재의 지역정착을 위한 정주여건 개선, 일자리 창출 등을 대학과 같이 고민하고 준비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