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이후 낮아진 생산성…개선 키워드는 ‘디지털 전환’
2021-03-24 12:00
24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우리나라의 생산성 둔화요인과 개선방안’ 자료에 따르면, ‘코로나19’ 이후 기존 산업의 생산성은 일제히 떨어졌다.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이 장기화되면서 소비와 투자가 동반 위축된 게 가장 큰 악재다. 이외에도 노동·자본 투입 둔화, 글로벌 공급망 및 혁신 잠재력 약화 등 다양한 부정적 효과가 발생했다.
이로 인해 한계기업에 대한 구조조정이 지연됐고, 시장 비효율성이 커지면서 생산성 하방압력으로 작용했다.
다만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이 가속화된 건 긍정적이다. 이는 기존 생산성 둔화요인을 극복하는 새로운 돌파구로 작용할 수 있단 게 한은 측 분석이다.
실제로 코로나 이후 디지털인프라 구축을 위한 민관의 투자가 대폭 확대됐고, 디지털 기술에 기반한 신규 소비가 다양하게 창출됐다.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등 디지털 기술과 기존 산업 간 융복합을 통해 시장의 역동성 역시 개선됐다.
한은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생산성을 높여가는 과정에서도 ‘디지털 환경’이 일상화되는 뉴노멀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
구체적인 과제로는 △디지털 생태계 조성 △디지털 포용력 제고 △통계 구축 등을 꼽았다.
디지털 생태계를 조성하는 과정에선 시장조성자인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봤다. 디지털인프라 고도화, 기업 간 경쟁적 협력 촉진 등을 통해 선순환 체계를 확립하는 게 핵심이다.
디지털 포용력을 제고하려면, 정보 취약계층이 소외되지 않도록 계층 간 격차를 축소하기 위한 노력이 수반돼야 한다. 아울러 디지털 전환에 따른 경제환경 변화와 파급효과를 분석할 수 있는 관련 통계 구축도 뒷받침돼야 한다.
한은 관계자는 “동시에 기존의 구조적인 생산성 둔화요인들을 개선하려는 노력들도 필요하다”며 “유효투입 확대,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 구조조정 및 정부지원 내실화, 규제 개선 등이 대표적인 사례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