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이후 낮아진 생산성…개선 키워드는 ‘디지털 전환’

2021-03-24 12:00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코로나19’ 이후 주요 산업의 생산성이 악화된 가운데, ‘디지털 전환’을 통해 활로를 모색해야 한단 분석이 나왔다.

24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우리나라의 생산성 둔화요인과 개선방안’ 자료에 따르면, ‘코로나19’ 이후 기존 산업의 생산성은 일제히 떨어졌다.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이 장기화되면서 소비와 투자가 동반 위축된 게 가장 큰 악재다. 이외에도 노동·자본 투입 둔화, 글로벌 공급망 및 혁신 잠재력 약화 등 다양한 부정적 효과가 발생했다.

이로 인해 한계기업에 대한 구조조정이 지연됐고, 시장 비효율성이 커지면서 생산성 하방압력으로 작용했다.

다만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이 가속화된 건 긍정적이다. 이는 기존 생산성 둔화요인을 극복하는 새로운 돌파구로 작용할 수 있단 게 한은 측 분석이다.

실제로 코로나 이후 디지털인프라 구축을 위한 민관의 투자가 대폭 확대됐고, 디지털 기술에 기반한 신규 소비가 다양하게 창출됐다.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등 디지털 기술과 기존 산업 간 융복합을 통해 시장의 역동성 역시 개선됐다.

한은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생산성을 높여가는 과정에서도 ‘디지털 환경’이 일상화되는 뉴노멀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

구체적인 과제로는 △디지털 생태계 조성 △디지털 포용력 제고 △통계 구축 등을 꼽았다.

디지털 생태계를 조성하는 과정에선 시장조성자인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봤다. 디지털인프라 고도화, 기업 간 경쟁적 협력 촉진 등을 통해 선순환 체계를 확립하는 게 핵심이다.

디지털 포용력을 제고하려면, 정보 취약계층이 소외되지 않도록 계층 간 격차를 축소하기 위한 노력이 수반돼야 한다. 아울러 디지털 전환에 따른 경제환경 변화와 파급효과를 분석할 수 있는 관련 통계 구축도 뒷받침돼야 한다.

한은 관계자는 “동시에 기존의 구조적인 생산성 둔화요인들을 개선하려는 노력들도 필요하다”며 “유효투입 확대,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 구조조정 및 정부지원 내실화, 규제 개선 등이 대표적인 사례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